닫기
216.73.216.143
216.73.216.143
close menu
KCI 등재
놀이기반 실행을 통한 유 · 초연계의 의미 탐구
Exploring the meaning of early childhood and elementary school connection through play-based practice
김미소 ( Kim Miso )
유아교육연구 44권 6호 293-314(22pages)
UCI I410-151-25-02-091871554

본 연구는 유초연계를 다른 과정에의 적응이 아닌 동일한 교육 접근의 공유, 즉 연속성의 관점으로 접근해 의미를 탐구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5세 유아 1개반과 초등학교 1학년 1개반, 각 담임교사와 연구자가 함께 참여한 놀이기반 실행이 2주에 1번씩 초등학교에서 이루어졌으며, 놀이에 대한 논의는 모두가 공동으로 협의하고 실행했다. 범주화된 결과를 해체하고 다시 자료와 만나는 후기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해 생성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아는 놀이를 통해 초등학교에 대한 내면의 차이를 생성했고, 초등학교에 입학한 모습을 상상하며 학교가 자신의 삶이 연속되는 곳이라는 인식하게 되었다. 1학년 학생들은 동생과의 놀이를 통해 형님이 된 자신의 모습을 경험하였고, 이전에는 몰랐던 학교에 대한 소속감과 자부심을 느끼게 되었다. 놀이에 대해 다른 관점으로 시작했던 교사들의 논의는 각 교육과정의 내용과 교수법, 유아와 초등학생의 개별 수준을 공유하는 교육 연계로 이어졌다. 여러 주체가 함께 관계 맺고, 소통하고, 변화하는 움직임 그 자체였던 놀이기반 실행을 통해 유초연계는 연속성이라는 거시적 관점으로 접근해가야 함을 보여주었다.

This study explores the meaning of early childhood and elementary school connec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ontinuity, rather than adaptation to a different process. To achieve this, a play-based practice was conducted on five-year-old children, first-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ir classroom teachers, and the researcher. A total of eight play sessions were held at the elementary school. The researcher aimed to engage with participants through a post-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at deconstructs categorized research results and reconnects with the data. The findings are as follows. The young children created an internal distinction regarding elementary school through play and perceived the school as a continuation of their lives, imagining their transition to first grade. First-grade students experienced their roles as older siblings through play with younger peers and developed a sense of belonging and pride towards their school, which they had previously not recognized. Discussions among teachers led to shared insights about the curriculum content and teaching methods, facilitating an educational linkage concerning the individual levels of both young and elementary students. The implementation of the study was a process in which multiple entities formed relationships, communicated, and changed together. The connection between early childhood and elementary education approached this dynamic curriculum from a macro perspective of continuity.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