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43
216.73.216.143
close menu
KCI 등재
질적연구 경험 다시 보기를 통한 유아 음악 교수자의 배움에 관한 자전적 연구: 들뢰즈(Deleuze)의 철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An autobiographical study on the learning of an early childhood music educator through revisiting qualitative research experiences: focusing on the Deleuzian philosophy
한자운 ( Han Jaun ) , 윤은주 ( Yun Eunju )
유아교육연구 44권 6호 105-127(23pages)
UCI I410-151-25-02-091871483

본 연구는 배움이 지닌 무의식적이고 사후적인 특징에 주목하여, 이미 종결된 연구자의 질적연구 경험을 다시 돌아보며 깨닫게 된 배움을 드러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연구 종료 후 새롭게 탐구하게 된 들뢰즈(Deleuze)의 철학적 관점으로 질적연구 경험을 자전적으로 성찰하였으며, 그 결과 연구자에게 연구 당시 인식하지 못했던 양분화된 선입견이 있었음을 깨닫게 되었다. 연구자는 연구의 예비관찰 과정에서 유아들의 이전 경험에 대한 선입견이 있었고, 자료 수집의 과정에서 음악적 경험에 대한 선입견이 있었으며, 자료 분석 및 글쓰기의 과정에서 소음 및 유아의 놀이에 대한 선입견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 이러한 선입견은 새로운 인식을 생성하는 깨달음으로 작동하였으며, 이는 연구자가 자신과 연구 참여자인 유아의 삶에서 파생되고 그것을 체험하는 과정으로써 연구 과정에 접근하고 존재해야 함을 배우게 했다. 즉 연구자는 질적연구 경험을 다시 보며, 연구과정을 어린이와 함께 배워나가는 교육의 시간이자 살아내는 시간의 기록으로써 바라보는 윤리적 태도를 지녀야 함을 배웠다.

This study aims to elucidate the insights gained by revisiting the researcher’s completed qualitative research experiences, specifically focusing on the unconscious characteristics of learning and the ‘logic of afterwardedness’ that operates within the learning process. Through an autobiographical reflection on the research process, re-examined from a newly explored Deleuze’s philosophical perspective after the study’s conclusion, the researcher identified previously unrecognized, dichotomous prejudices that influenced the research. These included biases about young children’s prior experiences during the preliminary observation phase, assumptions regarding musical experiences during data collection, and preconceived notions about noise and children’s play during data analysis and writing. As a result, these prejudices functioned as triggers for generating new insights, leading the researcher to realize that the research process should be approached and inhabited as a process derived from and intertwined with the lived experiences of both the researcher and participants. In conclusion, through revisiting the dissertation writing experience, the researcher learned the importance of adopting an ethical attitude that views the research process as both a time of learning with young children and a record of lived experience.

Ⅰ. 들어가며
Ⅱ. 연구방법
Ⅲ. 다시 보기 과정에서 마주친 선입견과 나의 성찰
Ⅳ. 다시 보기를 통한 나의 배움은 무엇인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