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의 실재성은 다양한 실재론적 사유에 근거한다. 실재론은 인간의 관념으로부터 독립된 객체의 실재성을 주장한다. 칸트의 실재론은 주관이 객관을 포함하는 방식으로, 인식의 영역은 현상으로 제한되면서 순수한 객체인 물 자체는 현상에서 배제되었다. 그러나 이미 “감관의 객체”로서 주어진 ‘물 자체’는 후설과 하이데거에 의해서 현상학적 또는 존재론적 실재론의 대상이 되었다. 현상이라는 ‘지각장’ 내에서 실재는 이원적 구조 안에 존재한다. 그러한 현상과 실재의 대립은 실재 그 자체와 감각적 실재를 구분한다. 현대적인 실재론을 정립한 화이트헤드의 유기체 철학은 실재론적 변증법에 필요한 기본적인 개념들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화이트헤드의 영원적 객체는 플라톤적인 형이상학적인 기제로 남아있다. 그 후, 최근의 실재론 가운데 메이야수의 사변적 실재론은 사변적 개념들을 고안하여 상관주의의 모순을 해결하고 있다. 그리고 사변적 실재론과 함께 하먼의 객체지향존재론은 위의 철학자들을 독해하며 가장 최근의 현대적인 객체론을 전개하고 있다. 그러나 결정적으로 새로운 실재론에서는 새로운 주체 형식이 생략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필자는 새로운 실재론의 관점 안에서 이미지의 실재성과 새로운 주체 형식으로 ‘신체-주체’, 그리고 그동안의 변증법에 관한 연구를 종합한 ‘실재론적 변증법’을 제안한다.
This study on the reality of images is based on various ideas of realism. new Realism asserts the reality of objects independent of human ideas. Kant’s realism is based on the way that the subject includes the object, and the realm of cognition is limited to phenomena, while the pure object, the thing-in-itself, is excluded from the phenomena. However, the “thing-in-itself,” which was already given as an “object of sense” as Kant’s premise, became the object of phenomenological or ontological realism by Husserl and Heidegger. In established Modern Realism, Whitehead’s Realism becomes the cornerstone for developing “realistic dialectics.” However, in Whitehead’s Realism, eternal objects remain a Platonic metaphysical mechanism. After that, among recent Realisms, Meillassoux’s Speculative Realism claims “ancestrality” and “non-thinking” as solutions to resolve the contradictions in Correlationism and sever the relationship, and Harman’s Object-Oriented Ontology with Speculative Realism is a modern and concrete theory in New Realism. However, the new subject form is omitted in New Realism. Therefore, in this study, I propose “realistic dialectics” that synthesizes the research on the reality of images and the new subject form (“body-subject”) and previous studies on dialectics from the perspective of New Real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