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9
216.73.216.29
close menu
KCI 등재
『尙書古訓』과 『尙書古注』 연계 시맨틱 데이터 프로세싱 1 : XML 데이터 설계 및 편찬
Semantic Data Processing of Sangseogohun and Sangseogoju, Part 1: XML Data Design and Compilation
변은미 ( Byeon Eun Mi ) , 이동학 ( Lee Dong Hak ) , 유인태 ( Ryu In Tae )
한문학논집 69권 287-338(52pages)
UCI I410-151-25-02-091854688

본 연구는 경학 자료를 대상으로 한 데이터 처리 방안이 어떻게 가능하며 그 과정 및 결과가 학술적으로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산 정약용과 석천 신작의 경학 논쟁이 반영된 두 자료 『尙書古訓』과 『尙書古注』는 문헌고증 방법이 활용된 조선 후기 상서학의 대표적 성과물로서, 『尙書』의 원형을 바로잡고 그 본의를 밝히기 위한 두 학자의 노력이 담겨있다. 특히 두 자료는 선진시기부터 청대 고증학에 이르기까지의 연구 성과를 적극적으로 수용한 바탕에서 다산과 석천 각자의 경학관에 따른 주해 방식이 돋보이는 바, 본 연구는 두 자료 각각의 특수성을 반영하되 동시에 두 자료를 공통적으로 포괄하는 의미 체계로서 섬세한 데이터 모델을 설계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여러 디지털 인문학 방법론 가운데서도 의미 체계 기술에 초점을 둔 시맨틱 데이터 처리 방법론을 적용하여, ① XML 데이터 설계 및 편찬, ② Ontology 디자인과 데이터 파싱, ③ Knowledge Graph 구현과 데이터 분석이라는 세 단계의 데이터 프로세싱 과업을 설정하였다. 본 논문은 세 가지 과업 가운데 첫 번째 단계의 데이터 처리 내용을 본격적으로 다룬 글로서, XML을 기반으로 한 데이터 설계 및 기초 데이터 구축의 필요성을 논하고 『상서고훈』과 『상서고주』 두 경학 자료를 대상으로 XML 데이터를 설계-편찬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주요 쟁점들을 중심적으로 정리하였다. 경학 자료의 물리적 특징 및 주요 정보를 반영하여 ① 원문요소, ② 주석요소, ③ 문맥요소, ④ 해석요소의 네 항목을 중심 줄기로 설계하였으며, 각 항목의 기준을 세분화하여 XML 요소(elements)를 정의하였다. 편찬된 XML 문서는 시맨틱 데이터 처리를 위한 기초 데이터로 활용되며, XML Schema와 연계하는 Ontology를 통해 그 의미와 맥락을 부여받게 된다. 이러한 접근은 경학 자료에 내재된 다층적 지식 관계망을 데이터로 재현-분석하기 위한 기초적 발걸음으로서, 디지털 환경을 매개한 경학 자료 연구가 어떻게 가능한지 그 양태를 구체적으로 확인-검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분명하다고 하겠다.

This paper aims to comprehensively explore the feasibility of data processing methodologies for Confucian classics, examining the academic significance of its processes and outcomes. The two texts, Sangseogohun(尙書古訓) and Sangseogoju(尙書古注), which reflect the scholarly debates on Confucian classics between Dasan Jeong Yakyong(丁若鏞) and Seokcheon Shin Jak(申綽), represent pivotal works in the study of the Sangseo(尙書) from the late Chosŏn Dynasty. These works embody the efforts of both scholars to restore the original form of the Sangseo and elucidate its intrinsic meaning, utilizing textual-evidential bibliographical methods. Distinctively, these two texts incorporate research results spanning from the pre-Qin period to the Qing Dynasty’s evidential studies, each reflecting the exegetical approach rooted in Dasan and Seokcheon’s respective perspectives on Confucian classics. This paper aims to design a refined data model that considers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each text while establishing a shared interpretive framework that encompasses both sources. Toward this objective, this study employs a semantic data processing methodology, focusing on meaning system within the digital humanities. The data processing tasks are structured in three stages: ① XML data design and compilation, ② Ontology design and data parsing, ③ Knowledge Graph demonstration and data analysis. This paper specifically addresses the first stage, discussing the necessity of XML-based data design and foundational data construction, while organazing the major challenges encountered in designing and compiling XML data for the two Confucian texts, Sangseogohun and Sangseogoju. Based on the bibliographic·structural features and key information of these texts, the XML structure is designed around four core elements: ① Original Element, ② Annotative Element, ③ Contextual Element, ④ Interpretative Element, with each element defined in detail. The compiled XML document acts as foundational data for semantic data processing. By integrating ontology through XML Schema, it adds contextual meaning to the data. This approach provides a primary step in representing and analyzing the multilayered knowledge networks inherent in Confucian texts, illustrating how Confucian classics research can be facilitated and verified within a digital environment. The implications of this approach are significant, offering a clear framework for digital scholarship in classical studies.

1. 머리말: 경학 데이터 처리 방안의 모색과 그 의미
2. 다산의 『尙書古訓』과 석천의 『尙書古注』에 관하여
3. 『尙書古訓』, 『尙書古注』 XML 데이터 설계 및 편찬
4. 맺음말: XML 데이터 편찬 결과 및 향후 활용 맥락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