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지역 적석목곽묘 중 황남대총 남분과 북분, 천마총 등을 대상으로 하여 무덤 내 출토위치에 따른 마구의 매납 양상이 시간적 흐름에 따라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지 파악하였다.
무덤 내에서 마구가 출토된 장소 중 주곽, 목곽상부, 석단, 봉토 내부 등을 제사 공간으로, 유물부장칸, 부곽, 부장품 수장궤 등을 부장공간으로 각각 규정하였다. 시간적 흐름에 대한 기준을 목심철판피윤등을 형식 분류하여 3시기로 구분하였다. 각 단계별로 대표 유적으로 제1기는 황남동 110호분, 제2기는 황남대총 남분과 북분, 제3기는 천마총 등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제1기에 마구는 제사공간과 부장공간 모두에서 확인되고 있다. 이 시기는 말에 기승하고 제어할 수 있는 재갈을 공헌품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후걸이를 장식하는 2가지의 행엽 중 심엽형행엽은 공헌품으로, 편원어미형행엽은 사후의 일상용품으로 의미가 부여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제2기가 되면 제사공간으로 봉토 내부, 주곽의 석단, 목곽상부 등이 사용되고 부장공간은 여전히 부곽이다. 새롭게 등장한 제사공간에서는 편원어미형행엽과 입주부운주의 조합이 공통적으로 확인되어 신라 마구의 대표적 상징물로 부각되는 시점이기도 하다.
편원어미형행엽과 입주부운주의 조합 외에 황남대총 남분에서는 심엽형행엽, 기생(추정) 등이 후걸이장식에 부가되었다. 북분의 경우, 다양한 재질의 안교와 재갈을 사용함으로서 기존의 후걸이에 집중된 시선을 말에 올라타고 있는 인물에 주목하며 말 전체를 보는 넓은 시야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복수의 마장세트는 제사 또는 의례에 여러 마리의 말이 동원되면서 마탁을 사용하여 시각적 효과와 함께 음향적 효과를 동시에 충족하고 있는 형태로 변화하고 있음을 지적할 수 있다.
이 시기 부장공간의 경우, 마구를 매납한 것(남분)과 그렇지 않는 것(북분)이 공존하고 있어 당시 마구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통해 피장자의 생물학적 성별을 비롯한 젠더에 대한 접근도 할 수 있다.
제3기가 되면 제사공간에서 전단계에 매납되었던 행엽과 운주는 보이지 않고 안교, 재갈, 등자 등 기승자에 집중하는 품목과 기생(추정)으로 후걸이를 마무리하고 있다. 제사 혹은 의례의 패턴이 바뀐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부장공간 역시 전단계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재질을 사용한 복수의 마장세트가 매납하고 있으며 마탁과 장니 등이 새롭게 등장하고 있어 일상에서의 마장이 변화하였음을 알 수 있다.
It have identified how the burial phase of the harness changes over time depending on the location where the harness was excavated from the tomb, covering the southern and northern tombs of Hwangnamdaechong and Cheonmachong among the tombs of stone and wooden in Gyeongju. Inside the tomb, the main chamber, the upper part of the wooden chamber, the stone altar, and the inner part of the seal were named as the ritual space, and the burial site, burial chamber, and burial goods collection chest were named as the burial space.
Wooden steel plate-covered stirrups were classified in form and divided into three periods. Representative remains were selected for each stage, and 110 mounds of Hwangnam-dong were selected in the first stage, the southern and northern tombs of Hwangnamdaechong in the second stage, and the Cheonmachong in the third stage.
As a result, all the harnesses of the first stage are checked in the ritual space and the burial space. During this period, the bit, which can be controlled by riding a horse, is used as a tribute. In addition, among the two apricots that decorate one's hips-decorate, the heart-shaped apricot is considered a tribute, and the flattened fish tail-shaped apricot is considered a daily product after death.
In the second period, the inner part of the seal, the stone altar of the main chamber, and the upper part of the wooden chamber are used as ritual spaces. As a burial space, a burial chamber is still used. In the newly introduced ritual space, you can see the combination of elliptical fish tail-shaped apricot and Unju with standing pillar in common. During this period, these are representative symbols of Silla's harnesses.
At the southern tomb of Hwangnamdaechong, there are many objects covering the area around the horse's hips. In the case of the northern tomb of Hwangnamdaechong, the horse and rider can also pay attention to the eyes that have been focused on the bottom of the horse, using harnesses of various materials. In addition, a number of horses appear in the multi-horse harness set at ancestral rites or ceremonies. The bell of a horse is used to satisfy visual and acoustic effects at the same time.
In the burial space at this time of year, the burial of harnesses (the southern tomb of Hwangnamdaechong) and the burial of non-buried ones (the northern tomb of Hwangnamdaechong) coexist. The biological gender of the mourners can be predicted through the social perception of the harness at that time.
In the third stage, apricot and unju used in the previous stage are not found in the ritual space. Saddles, bits, stirrups, and other things necessary for riding on horseback, as well as strange creatures decorate the horse's hips. It is believed that the ritual or ritual ceremony has changed. The burial space can also be seen as a set of harnesses in the same way as in the previous stage. However, bell of a horse and shodomuro are emerging.
It can be predicted that the decorations of the harnesses used in everyday life at that time have chang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