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자는 정신분석의 역사를 꿈 해석의 역사로 본다. 정신분석이 발전함에 따라 꿈 해석과 분석가의 역할도 진화해 왔다. 이런 맥락에서 필자는 꿈 해석 이론의 역사와 꿈 해석 이론의 임상적 적용이 곧 정신분석의 역사일 수 있다고 본다. 프로이트는 분석가의 과제는 해석을 통해 꿈-작업을 해체함으로써 몽자로 하여금 무의식에 접촉하게 돕는 것이라고 보았다. 위니컷은 분석가의 역할이 봉자로 하여금 놀이할 수 있는 능력을 회복하게 돕는 것이고 내담자에게 꿈-공간이 되어주는 것이었다. 클라인 학파는 꿈의 내용보다는 그 기능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분석가들에게 내담자들이 상징화할 수 있는 능력을 회복하도록 도우라고 격려하였다. 비온은 끔을 의식과 무의식의 상호 작용을 통해 성취된 정신적 능력으로 이해한다. 그래서 몽자로 하여금 아직 온전히 꿈꾸어지지 않은 꿈을 표상하는 환각적 이미지들을 분별하라고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분석가의 과제는 꿈을 꿀 수 있는 사람들을 위해서는 꿈의 의미를 해석해 주는 것이고, 꿈을 꿀 수 없는 사람들을 위해서는 그들이 꿈을 꿀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분석가는 먼저 몽자에게 놀이하고 상징화할 수 있는 정신적 능력을 성취할 수 있게 해 주어야 하고 꿈이 꾸어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해 주어야 한다. 꿈을 꿀 수 없는 것의 영역에 대한 비온의 개념은 대상과 관계하는 환각적 변형에 속한다. 자폐적 변형을 말하는 터스틴은 정신분석적 치료에서 비온의 환각적 변형의 개념을 대상 부재의 영역으로 확대한다. 비온은 이것을 정신분석의 범주를 넘어서는 영역으로 본 듯하다. 향후 꿈의 이론이 자폐 영역에서도 나타났는지는 더 깊는 연구를 요구한다. 요약하면, 분석가는 해석가의 기능을 하면서 동시에 내담자의 꿈-공간 안에서 환경이 되어야 하고 동시에 대상이 되어주어야 한다. 분석가와 내담 자는 함께 꿈을 꾸면서 전이와 역전이의 분석을 통해 꿈 진화와 꿈 생성을 촉진한다. 이러한 생성적 과정이 정신분석의 여정을 구성하고 꿈 해석의 여정을 구성한다.
The writer views the history of psychoanalysis as the history of dream interpretation. As psychoanalysis has evolved, the interpretation of dreams and the role of the analyst have expanded. In this context, the writer argues that the history of dream interpretation theory and its clinical applications is essentially the history of psychoanalysis. Freud saw the analyst’s task as connecting to the unconscious content of the dreamer by dismantling dream-work through interpretation. For Winnicott, the analyst’s role is to help the dreamer recover the ability to play and to become the dream-space for the client. The Kleinian school focuses on the function of dreams rather than their content, encouraging analysts to assist clients in regaining their capacity for symbolization. Bion understands dreams as a mental ability achieved through the interplay of consciousness and the unconscious, urging the dreamer to discern hallucinatory images that represent dreams not yet fully “dreamed.” From this perspective, the analyst’s task is to interpret the meanings of dreams for those who can dream and to help those who cannot dream to do so. To accomplish this, the analyst must first enable the dreamer to achieve the mental capacities for play and symbolization, providing a space in which dreams can be dreamed. Bion’s concept of the domain of the undreamable pertains to hallucinatory transformations relating to objects. Tustin’s notion of autistic transformations expands this to the realm of objectlessness in psychoanalytic therapy. Bion likely viewed this as a domain that transcends the scope of psychoanalysis. Further exploration is needed to determine if theories of dreams have emerged within the autistic domain. In summary, the analyst serves as both an environment and an object within the dream-space of the client while also being an interpreter. The analyst and the client dream together, facilitating the evolution and generation of dreams through the analysis of transference and counter-transference. This generative process constitutes the journey of psychoanalysis and the journey of dream interpre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