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적: 본 연구는 2022년에 초등학교 5, 6학년 무용교육 과정의 표현활동 영역에 스트리트댄스가 도입된 배경을 바탕으로, 대중무용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K-pop을 활용한 초등 무용교육 프로그램을 탐색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이는 기존의 K-pop을 가르치는 일반적인 무용수업과 달리 동화를 활용한 K-pop을 모티브로 설정하고, 그 안에 가사의 스토리텔링과 관련한 동작분석, 동화 속 캐릭터의 아이템 제작 및 움직임의 활용으로 통합적 무용 예술교육의 프로그램을 제안하는데 의의가 있다. 연구결과: 이러한 연구의 목표와 가치는 동화에 나타나는 상징적 스토리의 교훈을 바탕으로 K-pop 가사에 맞는 움직임을 주체적으로 탐색해 봄으로써, 표현의 창의성을 기르며, 무용적 지식의 향상과 교우 간에 사회성 증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게 된다. 결론: 2022년 교육부에 고시된 초·중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인간상인 자기주도적이고, 창의적이며, 교양과 포용력 함양의 뜻과도 맥락을 같이 함으로써 올바른 교육적 실천의 방향으로 나아가는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dance education and explore the k-pop dance education class in elementary schools based on the background of introducing street dance in the expression activity of 2022 dance education course for 5th and 6th graders. Methods: The program is unlike conventional dance classes at school that use K-pop music as a teaching medium. It is particularly significant in that it uses K-pop motifs inspired by fairy tales, and it offers a more comprehensive form of dance art education with storytelling elements focused on the lyrics of K-pop songs, the analysis of dance movements, and the production as well as application of small items created based on characters from fairy tales. Result: The expected goal of this research is to independently explore movements that fit K-pop lyrics based on the lessons of the moral of a fairy tale, to cultivate creativity in expression, have a positive impact on improving the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dance, and help promote students’ social skills among their peers. Conclusion: This study also aims to suggest the method of moving toward the desirable educational practice by sharing the same context with an idea of self-directed, creative, educated, and embracing person pursued by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curriculum notified by Ministry of Education in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