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224.63.20
18.224.63.20
close menu
}
KCI 등재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에 의해 조절된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The Influence of Internalized Shame and Experience Avoidance on Social Anxiety in University Students: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Social Supports
이예진 ( Lee Yea-jin ) , 진미경 ( Jin Mi-kyoung )
청소년학연구 31권 10호 145-171(27pages)
DOI 10.21509/KJYS.2024.10.31.10.145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사회불안의 하위요인인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사회공포증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에 의해 조절된 경험회피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에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30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사회공포증, 경험회피, 사회적 지지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변인 간의 상관관계가 모두 유의하였다. 둘째,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에 의해 조절된 경험회피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사회불안의 하위요인인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사회공포증에 미치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이해의 폭을 확장하여 불안을 호소하는 대학생 내담자의 특성을 이해함에 따라, 필요한 치료적 개입에 기초자료로서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ediating role of experience avoidance, moderated by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social anxiety among university students. The sample comprised 302 students from various universities nationwide. Key findings include: (1) internalized shame, social interaction anxiety, social phobia, experience avoidance, and social support were all significantly related; (2) the mediation effect of experience avoidance, moderated by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social anxiety (including both social interaction anxiety and social phobia) was found to be significant. These results enhance our understanding of the factors influencing social anxiety in university students, offering valuable insights for therapeutic interventions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counseling service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