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43
216.73.216.143
close menu
KCI 등재
교환학생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과제 기반 말하기 수업 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a Task-based Korean Speaking Class for Exchange Students
이지혜 ( Lee Jeehae )
국제어문 102권 559-593(35pages)
DOI 10.31147/IALL.102.21
UCI I410-151-25-02-091823898

본 연구의 목적은 교환학생 한국어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과제기반 말하기 수업의 실제 운영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수업의 효과와 교육적 의의를 살피고 말하기 수업의 방향성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의사소통 중심접근 방법(CLT)과 과업 중심 접근 방법(TBLT), 프로젝트 기반 언어 학습(PBLL)을 활용한 <실용한국어2> 수업의 사례를 제시하였다. 2장의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3장과 4장에서 과제 기반 말하기 수업의 설계와 실제 및 평가를 보였다. 수업의 개요, 교수요목, 수업 모형, 말하기 과제 선정의 목적과 과제별 특성을 제시하였으며, ‘지난주에 관해 이야기하기’, ‘Vlog 제작’, ‘대화 만들어 영상 제작하기’, ‘발표’ 총 네 과제에 따른 수업 활동 양상을 보였다. 또한 학습자의 말하기 과제 평가와 교수자의 말하기 과제 운영 평가 분석을 통해 5장에서 말하기 수업의 방향성을 다음과 같이 고찰하였다. 첫째, 여러 구어형태를 연습할 수 있는 다양한 말하기 과제 활용이 요구된다. 둘째, 여러 유형의 수업 모형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학습자 간 매개어 또는 목표 언어 향상의 자원으로 활용하도록 영어 사용을 적절히 허용할 필요가 있다. 넷째, 학습자가 자신의 언어 발전 정도를 가늠할 수 있는 체계적인 피드백 개발이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iveness and significance of tasks in speaking classes by analyzing a case study of a lesson to a group of Korean-learning exchange students that used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CLT), task-based language teaching (TBLT), and project-based language learning (PBLL). Based on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s presented in Chapter 2, the class design, execution, and evaluation of task-based speaking classes are presented in Chapters 3 and 4. The study discusses the class outline, syllabus, and model, purpose of the selected tasks, characteristics of each task, and it focuses on the class activity patterns of four of the tasks used in the lesson: “Talk about last week,” “V-log production,” “Creating a conversation and producing a video,” and “Oral presentation.” In addition, this paper proposes the following four suggestions for future speaking classes for this group of students in Chapter 5, based on student feedback on speaking tasks as well as the instructor’s self-evaluation: 1) Use the practice of various forms of speech. 2) Utilize various types of teaching models. 3) Allow students to use a limited amount of English, where necessary, as a medium between learners or as a resource for improving their target language. 4) Create a process-oriented systematic feedback method that allows students to monitor their progress based on a pre-assessment performed at the start of the course.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교환학생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과제 기반 말하기 수업의 설계
4. 교환학생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과제 기반 말하기 수업의 실제 및 평가
5.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