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최근 분명해지고 있는 인도네시아 민주주의의 질적 하락을 민주적 퇴행(democratic backsliding)의 관점에서 파악한다. 구체적으로 조코위도도(Joko Widodo, 조코위) 대통령의 임기(2014 - 2024) 동안 전개된 정치 동학을 버메오(Nancy Bermeo)가 제시한 민주적 퇴행의 세 가지 징후, 즉행정부의 과도한 성장, 반대 세력 괴롭히기, 전략적 선거 조작의 관점에서 경험적으로 분석한다. 분석 결과 집권 초기 양극화된 정치구도 속에서 주로 반대 세력의 약화로 소극적으로 표출되던 조코위 정부의 반민주적 속성은 두번째 임기 시작 전후로 급격히 권한과 규모가 확대된 행정부와 이를 바탕으로 한 대통령의 3선개헌과 임기연장 시도로 더욱 분명해진다. 개헌과 임기연장 시도가 무산된 이후 조코위는 왕조화(dynastization)로 대표되는 자신의 정치적 이익을 위해 민주적 절차를 훼손하면서까지 차기 대통령선거에 직간접적으로 개입했고, 결국 초반 판세와는 달리 후계자로 낙점된 쁘라보워(Prabowo Subianto)와 조코위의 아들인 기브란(Gibran RakabumingRaka)이 각각 정·부통령에 당선되었다. 이러한 조코위정부의 민주적 퇴행은 여러 민주주의 지수에서 확인되고 있는 제도적 차원의 인도네시아 민주주의의 질적 정체에서 저하로의 전환을 경험적으로 뒷받침하며, 차기 쁘라보워 정부에서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This article attempts to shed light on the recent deterioration of democratic quality in Indonesia through the lens of democratic backsliding. It delves into the political landscape during Jokowi’s presidency (2014-2024) using the three key indicators of democratic backsliding, that is, executive aggrandizement, opposition embarrassment, and strategic election manipulation, as proposed by Nancy Bermeo (2016). Findings indicate that signs of democratic backsliding emerged early in Jokowi’s first term as the government implemented a series of developmental policies and maneuverings to overcome hurdles created by polarization and disadvantages from the minority coalition government. During Jokowi’s second term, the trend of backsliding became more evident when the president actively engaged in not only repressing opposition forces in party politics and civil society but in intentionally mobilizing electoral support for his de facto designated successors, Prabowo Subianto and Gibran Rakabuming Raka. The article concludes by indicating that Indonesian democratic backsliding is likely to continue at least in the first phase of Prabowo’s presiden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