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조 말기와 순조 초기에 영장을 지낸 이정집과 그의 아들 이적은 “손자병법”을 포함한 “무경칠서”와 척계광의 “기효신서”, “연병실기”를 읽은 후, 자신의 체험을 바탕으로 “무신수지(武臣須知) ”편찬하였다. 이 책은 주로 장재(將才), 경권(經權), 진법(陣法)의 세 단계로 나누어 이전의 병학 경전을 실제 사례와 결합하여 조목조목 분석한다. 군사 인재의 선발과 양성, 전쟁 과정에서의 일반적인 원칙과 당지 실정에 맞는 변화, 작전 진법의 본질과 그 신축성 있는 사용을 중점적으로 강조하였다.
이 책은 조선 후기 무장 병학교육의 전통 경험과 실전 인식을 비교적 전면적으로 총화하고 응축하였다고 할 수 있으며, 장수들 간에 열독하고 기억하며 이해하는 데 편리할 뿐만 아니라, 일반 무학 애호가들이 깊이 체득하고 응용하는 데도 유용하다. “무신수지”의 편찬은 사실 이씨 부자의 깊은 병학적 소양에서 비롯되었을 뿐만 아니라, 비록 뜻을 이루지 못했지만 저술하여 무비를 정돈하고자 하는 지향과도 관련이 있다. 또한, 18세기 후반부터 19세기 초반까지의 병서 편찬 열풍의 영향을 받아, 그 시대의 거안사위(居安思危)와 신수무비(慎修武備) 의식의 산물이라 할 수 있다.
At the end of King Jeongjo's reign and the beginning of King Sunjo's reign, Lee Jeong-jip and his son Lee Jeok, who had served as local battalion generals, compiled a book titled Mushinsuji (Instructions for Military Officials) based on their own experience after reading Wujing Qishu (Mugyeong Chilseo), Jixiao Xinshu (Gihyoshinseo) and Lianbing Shiji (Yeonbyeong Silgi). The book is mainly divided into three levels, namely, Jangjae (general talent), Gyeongkwon (the principle of fixity and flexibility), and Jinbeop (array method), and the classics of military science in the past are analyzed in detail with practical cases. It emphasizes the selection and training of military personnel, general principles in the course of war and changes according to local conditions, and the essence of combat formation and its flexible use. It can be said that this book comprehensively summarizes and condenses the traditional experience and actual combat cognition of military education in the later period of Joseon, which not only facilitates the reading, memory and understanding of generals, but also the deep understanding of general martial arts enthusiasts. As a matter of fact, the compilation of Mushinsuji not only originated from the profound military knowledge of Lee's father and son, but was also related to their ambition to write in order to rectify their military equipment. Furthermore, it is influenced by an upsurge in compiling military books from the late 18th century to the early 19th century, which was the product of the consciousness of being prepared for danger in times of peace and being cautious in military equipment in that e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