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델파이조사를 활용하여 포스트코로나에서 유아 및 아동의 발달 및 적응문제의 변화 양상과 이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책 탐색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놀이치료 및 유아교육, 초등교육 현장전문가 15명을 대상으로 3차의 델파이조사를 진행하였다. 1차 조사는 포스트코로나에서 유아 및 아동의 발달 및 적응문제의 변화양상과 가정과 교육 및 상담기관의 대응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고, 2차 조사에서는 발달 및 적응문제의 심각도와 영향 요인을 탐색하고 추가 의견을 수렴하였다. 3차 조사에서는 2차 조사 결과에 대한 전문가의 동의를 구하였다. 연구결과, COVID-19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은 영역은 ‘사회성’이며, 가장 큰 영향 요인은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대면 접촉, 관계 경험 감소’로 나타났다. 또한 가장 심각한 발달문제는 ‘자기중심적 사고’이며, 가장 심각한 적응문제는 ‘또래관계 등 사회적 관계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전염병 관련 위급상황 대비를 위한 사회적 지원책과 같은 사전준비가 필요함을 확인하였으며, 포스트코로나에서 유아 및 아동의 발달문제와 적응문제의 양상 이해의 기반과 효과적인 대응책의 실증적 자료를 제공했다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infants and children have been impacted by COVID-19, utilizing three Delphi surveys with 15 experts in play therapy, early childhood care & education, and elementary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area most affected by COVID-19 was “socialization,” with the most important factor being “reduction in face-to-face contact and relationship experiences due to social distancing.” The most serious developmental problem identified was ‘Increased self-centered thinking’, the most serious adaptive problem was ‘difficulty in social relationships, including peer relationships’. This research confirms the need for advanced preparations such as social support measures to prepare for epidemic-related emergencies and provides a basis for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al and adaptive problems of infants and children in the post-COVID-19 Era, along with empirical data for effective respon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