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놀이치료자의 전문직 정체성의 하위요인인 전문지식 및 기술, 역할 및 태도, 가치 및 신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전문 아동상담센터, 병원 혹은 복지관 내 놀이치료실 등의 기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놀이치료자 159명을 대상으로 전문직 정체성 척도(K-CPIS), 자기효능감 척도(COSE), 직무만족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을 사용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Hayes(2013)의 PROCESS macro ver. 4.2를 활용하여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직 정체성은 자기효능감, 직무만족과 정적 상관관계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효능감은 직무만족과 정적 상관관계가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전문직 정체성의 하위요인인 전문지식 및 기술, 역할 및 태도, 가치 및 신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처럼 본 연구에서는 전문직 정체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전문직 정체성과 자기효능감, 직무만족의 관계를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나아가 직무만족을 높이는 데 있어 놀이치료자로서의 전문직 정체성 및 자기효능감과 관련된 교육 및 훈련의 필요성이 시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in the influence of professional identity on job satisfaction of play therapists. To achieve this, Korean Counselor Professional Identity Scale (K-CPIS), Counselling Self-Efficacy Scale (COSE), and the Job Satisfaction Scale were used for 159 play therapists working at institutions such as specialized child counseling centers, hospitals, or welfare centers in Korea.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26.0 and the Hayes' PROCESS macro ver. 4.2.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rofessional identity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In addition, self-efficacy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job satisfaction. Second, self-efficacy ha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in the influence of sub-factors of professional identity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s, roles and attitudes, and values and beliefs) on job satisfac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facilitates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identity,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by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in the influence of professional identity on job satisfaction. Furthermore, in enhancing job satisfaction, the need of education and training related to professional identity and self-efficacy as a play therapist is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