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9.171
18.97.9.171
close menu
Accredited
중·고등학생의 그릿이 플로리싱에 미치는 영향: 감사성향과 마음챙김의 이중 매개효과
The effect of grit on flourishing i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Dual mediating effect of gratitude and mindfulness
이은진 ( Eun Jin Lee ) , 신은미 ( Eun Mi Shin ) , 이창식 ( Chang Seek Lee )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감사성향과 마음챙김이 그릿과 플로리싱의 관계에서 이중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확인하고 플로리싱을 증진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조사대상은 충남의 시 지역에 재학중인 중·고등학생을 임의 표집하였고, 자료는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하였다. 자료는 SPSS PC+ Win. ver. 25.0과 SPSS PROCESS macro ver. 4.2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활용한 통계기법은 기술통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이중 매개효과분석이었다. 연구결과는 첫째, 그릿, 감사성향, 마음챙김 및 플로리싱 간에는 서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감사성향과 마음챙김의 상관계수가 가장 높았다. 둘째, 감사성향과 마음챙김은 중·고등학생의 그릿과 플로리싱의 관계에서 직렬 이중 매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그릿, 감사성향 및 마음챙김의 긍정심리 변인을 적용하여 플로리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새로운 모델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This study aims to confirm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gratitude and mindful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flourishing i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to provide basic data that can improve flourishing. The study subjects wer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were selected from a city in South Chungcheong Province,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For data analysis, SPSS PC+ Win. ver. 25.0 and SPSS PROCESS macro ver. 4.2 were utiliz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dual mediation effect analysis techniques. First,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and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grit, gratitude, mindfulness, and flourishing and the highest correlation between gratitude and mindfulness. Second, gratitude and mindfulness had a serial dual mediating effect in the link between grit and flourishing i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a new model to improve flourishing by utilizing positive psychological variables such as grit, gratitude, and mindfulness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