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63
216.73.216.163
close menu
KCI 등재
참여형 문화콘텐츠의 사용자 경험 향상을 위한 마이크로 인터랙션 연구
Participatory cultural contents A Study on Micro-Interaction to Improve User Experience
성민정 ( Seong Min-jeong ) , 김성훈 ( Kim Sung-hoon )
DOI 10.25111/jcd.2024.88.26
UCI I410-151-25-02-091617309

현대 미디어 기술의 발전과 스마트 콘텐츠의 보편화는 사용자 참여를 중심으로 능동적 사용자 기반의 적극적인 참여자로 옮겨가며 온전한 경험적 가치를 실현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면모로 급격히 재편되고 있다. 이는 현대 문화미디어 콘텐츠 환경을 주도하고 있는 복합 문화시설 및 공공 플랫폼을 통해 사용자 경험을 극대화시키려는 시도로 이어지고 있다. 참여형 문화콘텐츠는 디지털 및 스마트 미디어의 기능 확대와 함께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며 이 과정에서 사용자가 콘텐츠와 더욱 직관적이고 자연스러운 상호작용을 경험하여 콘텐츠 경험만족도 및 긍정적 회상작용을 제공한다면, 지속적 문화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다. 또한 문화를 기반으로 한 참여형 콘텐츠는 연령과 성별에 제한없는 평균적인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범용적으로 누구나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는 디자인 설계에 대한 방법과 관점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문화 미디어 환경에 적용할 참여형 콘텐츠 개발에 있어 사용자가 경험할 마이크로 인터랙션 단계에 따라 미디어를 구성하는 사용자 경험 요인의 특성을 접목함으로서 문화를 기반으로 하는 참여형 콘텐츠의 적용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의 조사 · 분석을 통해 참여형 문화콘텐츠에 접목된 마이크로 인터랙션 단계에 영향을 미치는 사용자 경험 요소를 도출하였다. 또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구모형을 도출하여 각 요소에 따른 중요도 도출을 위한 설문을 설계하였다.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참여형 문화콘텐츠 마이크로 인터랙션 단계별 사용자 경험을 유발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통계분석을 통해 결론을 도출하였다. 앞으로 더욱 새롭게 발전할 미디어에 대응할 영상콘텐츠 개발에 있어 본 연구가 도움이 될 것을 희망한다.

The development of modern media technology and the generalization of smart content are rapidly reorganizing into the aspect of users who want to realize full experiential value by shifting to active participants based on user participation. This is leading to attempts to maximize the user experience through complex cultural facilities and public platforms that are leading the modern cultural media content environment. Participatory cultural content is provided in various forms along with the expansion of digital and smart media functions, and in this process, if users experience more intuitive and natural interactions with the content and provide content experience satisfaction and positive recall, continuous cultural participation can be induced. In addition, since participatory content based on culture targets an average user without restriction on age and gender, it is time to study the methods and perspectives for design that anyone can understand and use universally. Therefore, this study seeks to apply participatory content based on culture by incorporating the characteristics of user experience factors that make up the media according to the micro-interaction stage that users will experience in developing participatory content that will be applied to the cultural media environment. Through the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this study derived user experience factors that influence the micro-interaction stage applied to participatory cultural contents. In addition, a research model was derived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a questionnaire was designed to derive the importance of each factor. Based on the survey results, conclusions were drawn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of the factors that influence inducing the user experience at each stage of participatory cultural contents micro-interaction.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be helpful in developing video contents that will respond to media that will develop further in the future.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참여형 콘텐츠 단계의 마이크로 인터랙션 기반 사용자 경험 분석
4. 분석 결과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