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9.175
18.97.9.175
close menu
Accredited
전통시장 온라인 장보기 서비스 사용자 경험 연구 -'놀러와요 시장', '네이버 동네시장 장보기', '쿠팡이츠'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User Experience of Traditional Market Online Shopping Service -Focused on Noljang, Naver Neighborhood Market Shopping, Coupang Eats
배진영 ( Bae Jinyoung ) , 김보연 ( Kim Boyeun )
DOI 10.25111/jcd.2024.88.24

COVID-19로 인해 비대면 거래가 더욱 활성화되면서 온라인 판매로의 전환이 급속도로 이뤄지고 있다. 특히 온라인 식품 거래액은 COVID-19 전인 2019년 약 17조 원에서 팬데믹 기간 급성장하여 작년 2023년 기준 약 40조 원을 돌파하였다. 이에 더해 대형마트 혹은 이커머스 서비스들이 공격적인 마케팅과 사업을 진행 중이다. 이에 따라 서울시 중소벤처기업부, 소상공인시장진흥재단은 전통시장의 온라인 판매 전환을 위해 지원 사업을 적극 추진 중이며, 현재 전통시장 온라인 장보기 서비스를 갖춘 놀러와요 시장[놀장], 네이버 동네시장 장보기, 쿠팡이츠를 통해 사용자 경험을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각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경험 있는 남녀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심층 인터뷰로 이루어졌으며 피터 모빌의 허니콤 모델을 활용하여 유용성, 신뢰성, 편리성, 접근성, 매력성, 가치성 총 7가지 요소를 통해 전통시장 온라인 구매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원하는 상품을 선택하고 구매할 때 뎁스(Depth)나 구조가 단순하여 빠르게 진입할 수 있는 점에서 높은 만족감을 보였으며 특히 간단하고 쉬운 방법일수록 더 좋은 반응을 보였다. 따라서 쉬운 화면 구성과 함께 저렴한 가격 등 기존 마트 및 이커머스 서비스와의 차별점이 있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전통시장 온라인 장보기에 관한 서비스 연구를 조사하는데 의미 있는 자료가 되길 기대한다.

As non-face-to-face transactions are becoming more active due to COVID-19, the transition to online sales is taking place rapidly. In particular, online food transactions grew rapidly during the pandemic from about 17 trillion won in 2019 before COVID-19, exceeding about 40 trillion won as of 2023 last year. In addition, hypermarkets or e-commerce services are carrying out aggressive marketing and businesses. Accordingly, the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 of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d the Small Business Market Promotion Foundation are actively promoting support projects to convert traditional markets to online sales, and user experiences were analyzed through the Noljang with an online shopping service in the traditional market, Naver Neighborhood Market Shopping, and Coupang Eats. As a research method, a survey and in-depth interview were conducted for men and women who used or experienced each service, and Peter Morville's honeycomb model was used to analyze the user experience of the traditional market online purchase service through seven factors: Useful, Credible, Usable, Convenient, Accessible, Desirable and Valuable. As a result, when selecting and purchasing a desired product, it showed high satisfaction in that it can enter quickly due to its simple depth or structure, and in particular, the simpler and easier the method, the better the response. Therefore, there should be a difference from existing supermarkets and e-commerce services such as easy screen configuration and low price.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meaningful data for investigating service research on online shopping in traditional markets.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전통시장 온라인 장보기 서비스 분석
4. 연구 방법
5. 연구 결과
6.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