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우리가 거짓말의 뜻매김에 ‘속이려는 의도’와 같은 것을 포함시키는 것의 문제점을 밝히고, 그것을 보완할 ‘새로운 뜻매김’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가장 먼저 ‘의도적으로 한 그릇된 말’이라는 널리 알려진 거짓말 뜻매김의 문제를 파헤친다. 이에 따를 때, 우리는 챗지피티의 그릇된 답변이나 서술형 문제의 오답, 의사의 오진 등의 ‘비의도적’ 거짓말을 ‘거짓말’이라고 말할 수 없게 되고, 허위 자백의 진술서 문제도 제대로 풀 수 없게 된다. 다음으로, 나는 거짓말 뜻매김에서 움베르토 에코의 해석의 문제를 피하기 위해 우리말 ‘거짓’과 ‘거짓말’ 그리고 그와 관련된 ‘한자 낱말’의 뜻풀이를 심도 있게 제시하고, 그 결과를 ‘말’의 얼개에 대한 철학적 분석에 기초해 종합한다. 마지막으로, “이 개나리꽃은 노랗다.”라는 말을 ‘말의 겉’이라는 차원과 ‘말의 속’이라는 차원 그리고 ‘말하고자 하는 바’의 차원으로 나눠 분석한 뒤, 거짓말이 이 세 차원의 ‘그릇된 결속’으로부터 비롯된다는 것을 밝힌다. 이로써 거짓말의 새로운 뜻매김이 말의 ‘겉속바의 그릇되이 꾸며져 있음’으로 마련될 수 있음이 드러날 것이다.
This article aims to clarify the problem of including the “intention to deceive” in the definition of a lie and to propose a new definition that supplements it. To this end, the first step is to investigate the widely accepted problem of establishing a lie, which is “intentionally saying something false.” Under this definition, unintentional falsehoods, such as incorrect answers from ChatGPT, incorrect responses to descriptive questions, and medical misdiagnoses, are not considered lies, and the issue of false confessions cannot be adequately addressed. Next, to avoid the problem of Umberto Eco’s interpretation, this article delves into the meaning of Chinese characters related to the Korean words for “lie” and “lies.” The findings are then synthesized based on a philosophical analysis of the nature of language. By examining the phrase “this forsythia is yellow,” the article analyzes it in terms of the dimensions of “outside of words,” “inside of words,” and “what is meant to be said.” It demonstrates that lies originate from the “false association” of these three dimensions. In conclusion, the article proposes that the new definition of a lie should be “the false decoration of the outside-inside of words and what is meant to be s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