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83
18.97.14.83
close menu
청소년의 정서적 건강 회복을 돕는 공동체기반 교육과정의 의미와 효과에 대한 질적연구 - 대안학교를 중심으로
A Qualitative Study on the Meanings and Effects of Community Based Educational Curricula For the Recovery of the Emotional Health of Youth: Focusing on Alternative Schools
진하영 ( Jin Hayeong ) , 이유진 ( Lee Yoojin )
동광 vol. 119 iss. 1 63-95(33pages)

본 연구의 목적은 공동체기반 교육의 주 실행자인 대안학교 교사들이 경험해 온 현장 사례들을 구체적으로 살피봄으로써 청소년의 정서적 건강 증진 및 회복에 기여하는 공동체기반 교육과정의 구체적인 의미와 효과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학교 소개와 커리큘럼에 공동체기반 교육의 실천이 명시되어 있는 서울형 대안학교 4곳에서 10년 이상 근무한 교사 5인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자료는 서면 자료, 심층 면담 및 추가 면담 등을 활용하였으며, 자료는 2022년 7월부터 10월까지 4개월에 걸쳐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 및 해석하고 종합적인 결론을 도출해 내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사들은 공동체기반 교육과정을 ‘총체적 연계’를 통해 이루어짐을 대전제로 하여, ‘상호 호혜성’에 기반한 공동체에 대한 이해를 전하고, 학생들이 구성원으로서 ‘평등한 존중’을 경험하게 하는 것이라고 그 의미를 정의내리고 있었다. 교육과정의 시행은 학생들의 ‘긍정적 자아상’ 형성 및 ‘사회 적응 능력’ 향상 측면에서 청소년의 정서적 건강 증진 및 회복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대안학교뿐 아니라 이를 넘어선 교육 현장 전반에 공동체기반공동체기반 교육의 효과를 확장할 것이라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s and effects of community-based educational curricula that contribute to the improvment and recovery of the emotional health of youth.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on four different 'Seoul-type' alternative schools that carry ommunity-related education curriculum. Specifically,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ive teachers who have been working in these schools for more than ten years. Data was collected over a period of four months from July to October, 2022, and documents from school guidance, in-depth interviews, and additional interview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teachers perceived community-based educational curricula based on the concept of 'whole connection' in general educational performance, and defined it as teaching the concept of 'mutual reciprocity' as an understanding of community, and providing students the experience or equal respect' as community members. The implementation of such education was found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and recovery of youth's mental health in terms of enhancing students' 'positive self-image' and improving their 'adaptability'.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r the effects of community-based education beyond alternative schools.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