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9.171
18.97.9.171
close menu
Accredited
우리나라 범교과 학습 관련 쟁점 분석
Analysis of issues related to cross-curricular topics in Korea
이림 ( Lee Rim )
DOI 10.29096/JEE.37.3.01

이 연구는 우리나라의 범교과 주제에 대한 쟁점을 살펴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쟁점이 명확해야 우리가 해결해야 하는 문제점을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개선방향을 모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는 제1차 교육과정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국가 교육과정 상에서 범교과 주제를 제시해 옴으로써, 학교현장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해 왔으나, 범교과 주제에 대한 명확한 논의의 부족으로 인하여 여러 쟁점을 생산해 왔다. 우리나라 범교과 주제와 관련해서는 세 가지 정도의 쟁점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첫째, 자율화 vs. 적절한 규제와 질 관리, 둘째, 대강화 vs. 구체화, 셋째, 적정화의 문제이다. 첫 번째 쟁점과 관련하여, 구체화하는 지침과 자율권을 주는 정도를 조정하는 일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국가 교육과정 문서에 의해서만 범교과 주제가 다뤄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두 번째 쟁점과 관련해서는 국가 교육과정을 설계할 때, 범교과 주제를 중심으로 설계하는 방식과 교과를 중심으로 설계하는 방식을 절충하는 방식에 대해 고려해 볼 수 있다. 세 번째 쟁점과 관련해서는, 여러 교과에 걸쳐 배울 때 유의미하고 효과적인 내용만을 범교과 주제로 선정하고, 여러 교과의 성격을 파악하여 범교과 주제에 각 교과를 연결하는 방식을 고민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ssues related to cross-curricular topics in Korea. This is because clarifying the issue can make us clearly recognize the problem that needs to be solved, and based on this, we can seek improvement directions. Our country has made efforts to improve the school environment by presenting cross-curricular topics in the national curriculum from the first curriculum to the present, but the lack of clear discussions on cross-curricular topics has produced several issues. First, the issue is autonomy vs. appropriate regulation and quality control. Second, the issue is whether to create a detailed or specific curriculum. Third, it is a matter of optimization of contents. Regarding the first issue, it is important to coordinate the degree of autonomy of the guidance. To achieve this, it must be ensured that cross-curricular topics are covered only through the national curriculum document. Regarding the second issue, when designing the national curriculum, it is possible to consider a compromise between designing with a focus on cross-curricular topics and designing with a focus on subjects. Regarding the third issue, it is necessary to select only meaningful and effective cross-curricular topics when learning across multiple subjects. Furthermore we have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subjects, and consider ways to connect each subject to cross-curricular topics.

Ⅰ. 서론
Ⅱ. ‘범교과 주제’라는 아이디어의 교육적 의미와 다양한 해석
Ⅲ. 우리나라 범교과 주제 관련 쟁점 분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