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223.99.16
18.223.99.16
close menu
}
KCI 등재
명작무 산조춤의 공간기호학적 의미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Spatial Semiotics Analysis of the Myeongjakmu (Korean Masterpiece Dance) Sanjo Dance Activation
함선호 ( Ham Seonho ) , 윤혜정 ( Yun Hyejeong )

본 연구는 전통의 수용과 변용을 보이는 대표적인 춤 ‘산조춤’ 가운데 명작무로 선정된 1호 김진걸 「산조」, 19호 정재만 「산조(청풍명월)」을 대상으로 장단 별 각 춤의 구조적 분석과 특질, 담론적 의미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방법은 공간기호학을 수용하였는데 산조춤의 행위가 공간 구성에 따라 다양한 의미를 양산한다는 점에서 비롯되었다. 연구결과 산조 장단을 바탕으로 진양,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로 확산되고, 1953년 처음 만들어진 김진걸 「산조」와 1990년 후반 시작된 정재만 「산조(청풍명월)」는 창작 시기에 따라서 무대 공간적 활용의 특질에 구분되는 차이점이 있었다. 김진걸 「산조」에 비해 정재만 「산조(청풍명월)」의 무대 동선과 구도는 더욱 다양하게 확대되었고 소도구로 부채를 활용한 움직임 또한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명작무 산조춤의 보편적 가치와 특질을 살펴 산조춤의 확장적 의미를 찾는 데 의미가 있으며, 전통춤의 재생산과 동시대적 가치를 인식하는데 가치가 있다.

This study is to examine No. 1 Kim Jin-Geol 「Sanjo」 and No. 19 Jeong Jae-Man 「Sanjo (CheongPungMyeongWol)」, which were selected as masterpieces among many other ‘Sanjo dance’ - dances that both accept and transform tradition - through the analysis of each dance’s structure, characteristics, and discursive meaning. The research method adopted spatial semiotics because the actions of Sanjo dances produce various meanings depending on their spatial composi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anjo rhythms include Jinyang, Jungmori, Jungjungmori, and Jajinmori.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Kim Jin-Geol 「Sanjo」, which was first created in 1953, and Jeong Jae-Man 「Sanjo(CheongPungMyeongWol)」, which began in the late 1990s, in terms of their utilization of stage space. Compared to Kim Jin-Geol 「Sanjo」, Jeong Jae-Man 「Sanjo (CheongPungMyeongWol)」had more diverse floor patterns and compositional structures and showed the incorporation of fans as props in dancers’ movement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examining the universal values and characteristics of Sanjo dances, and is valuable in recognizing the re-creations and contemporary values of traditional dances.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산조춤의 개념적 정립과 공간에 따른 의미 분석
Ⅳ.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