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9.170
18.97.9.170
close menu
Accredited
解放政局期 韓國光復軍豫備隊 硏究
A Study on the Reserved Military Units of the Korean Independence Forces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엄태용 ( Eom Tae-yong )
군사 vol. 123 59-132(74pages)
* This article is free of use.

본 연구는 임시정부 및 한국광복군을 지지하는 세력으로서 해방정국기에 국내에 창설, 운영되었던 ‘韓國光復軍豫備隊’의 성격에 관하여 밝히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광복군예비대는 1972년 서울시청 12호 창고내 금고에서 관련 유물이 대대적으로 발견됨에 따라 그 실체가 공개된 바 있으며 당시 언론의 비상한 관심을 끌었다. 당시 이 유물들의 상당수가 군 기관으로 이관되어 육군박물관에 소장된 것으로 추정되며 이중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된 군복상하의 1벌과 군모, 완장 각 1점만이 광복군예비대 유물로 공개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해방 전후의 관련 사료와 1972년 서울시청 금고 개방 당시 보도된 여러 언론기사 및 서울시 공보실에서 촬영된 사진자료와 함께 그동안 미공개 또는 그 성격이 명확히 확인되지 않았던 육군박물관 소장 광복군예비대 유물을 일괄적으로 정리 및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작업을 바탕으로 광복군예비대의 창설과 활동내역, 조직구성 및 운영실태를 종합적으로 분석, 파악하는 한편 대한민국 임시정부 및 한국광복군과의 연관성을 고찰하였다. 아울러 1972년 언론기사 및 사진에 제시된 발견 자료와 육군박물관에 현전하는 유물 목록의 비교를 통해 향후 광복군예비대 유물의 추가적인 발굴 및 조사를 위한 기초 자료로 삼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관련 사료 및 육군박물관 소장 유물의 분석을 통해 그동안 실체가 명확히 규명되지 않았던 광복군예비대의 성격에 대하여 밝힌 것에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nature and operation of "the Korean Independence Army Reserve Units", which was established and operated after the Independence from the Japan Occupation, as a force supporting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Korean Independence Army. This study analyzed artifacts of the Korean Independence Army Reserve owned by KAM(Korea Army Museum) along with various media articles and photographs discovered in the 12th safe cabinet located in Seoul City Hall in 1972. Based on these materials, This study examine the establishment, activity, organization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Korean Independence Army Reserve, and also analyzed the relationship with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Korean Independence Army. In addition, This study compared the lists of discovered materials published by media in 1972 with the list of artifacts in KAM so that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further additional investigation of artifacts of Korean Independence Army Reserv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a sense that it examined in detail the nature and operation of Korean Independence Army Reserve, which has not been clearly studied until now through analysing related historical materials and artifacts owned by KAM.

1. 서 론
2. 韓國光復軍豫備隊관련 사료 및 陸軍博物館 소장 유물 분석
3. 韓國光復軍豫備隊의 성격
4. 결 론
[부록] 韓國光復軍豫備隊관련 陸軍博物館 소장 유물 상세 설명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