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80
18.97.14.80
close menu
Accredited
공·사 임금 격차에 대한 인식이 공무원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세대 간 차이
이겨레

최근 한국 공직사회가 겪고 있는 저연차 공무원 이탈 및 이직의도 증가의 주된 원인으로 민간기업체 보수 대비 낮은 공무원 보수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행정연구원의 공직생활실태 조사 2022 데이터에 기반하여 공적영역과 민간기업체의 임금 격차가 공무원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MZ세대와 기성세대 간 차이를 중심으로 실증적으로 분석했다. 불공정 이론(theory of inequity)을 토대로 공·사 임금 격차를 민간기업체의 유사 업무에 대한 보수 대비 공무원 보수 적정성으로 측정하여 분석한 결과, 공·사 임금 격차가 적정하지 않다고 인식할수록 공무원의 이직의도는 증가하며, 공·사 임금 격차가 적정하지 않다는 인식은 기성세대보다 MZ세대 공무원의 이직의도를 더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공무원 임금 상향 및 공·사 임금 격차에 대한 공무원의 인식 개선 등을 포함한 공무원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한 대안들에 대해 논의한다.

Ⅰ. 서론
Ⅱ. 연구 배경 및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방법론
Ⅳ. 연구의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