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81
18.97.14.81
close menu
한국인의 조상숭배에 대한 분석심리학적 고찰:기제사를 중심으로
Korean Ancestor Worship: An Analytical PsychologicalConsideration for Confucian Ancestor Worship, Gijesa
이승섭 ( Seungsub Lee )
심성연구 vol. 39 iss. 1 92-128(37pages)

본 연구는 한국인의 오랜 조상숭배 전통인 기제사를 분석심리학적 측면에서 이해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문헌 연구를 통하여 제사의 대상이 되는 조상신의 근거를 찾아보고, 기제사 의 형식과 절차가 갖는 상징적 의미를 살핀 후, 주자어류 권3에 언급된 귀신과 제사에 대한 문답을 고찰해 보았다. 한국의 조상숭배를 대표하는 기제사는 외견상 형식적 제의로 보이지만, 제례를 통한 자손과 조상의 대화, 의식과 무의식의 대화를 통해 전체정신을 실현하려는 개성화 과정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조령숭배의 창조적인 면은 의식의 뿌리로 중요한 개념인 집단적 무의식과의 연계성을 키워간다는 점에서 ‘개성화 과정의 실현’에 있다. 한 인간이 통합된 인격으로 나갈 때 새로운 나의 탄생에는 조상의 뒷받침, 즉 무의식의 뒷받침에서 힘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의식의 자아가 그 뿌리인 집단적 무의식과의 관계를 키워간다는 의미에서 선조들의 영과 맺는 관계는 중요한데, 합리주의와 물질만능주의로 인간 존재의 근원적 의미를 상실한 혼돈의 시대에 특히 그러하다.

This study examines Gijesa, a Korean tradition of memorial worship for departed ancestors, from the perspective of analytical psychology. To understand the psychological background of ancestral rites, a literature search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basis for ancestral spirits, the objects of ancestral rites, the symbolic meaning of the customs and practice of Gijesa, and the contents of volume 3 of the book Jhuza-uryu about ‘Ghosts and Ancestral Rituals’. Gijesa, the Korean ancestor worship, may appear as a complicated formal ritual, but it reveals a psychological phenomenon of individuation. Gijesa facilitates a conversation between descendants and ancestors, bridging the conscious and the unconscious, leading to a realization of totality. The creative aspect of spirit worship lies in the ‘realization of the individuation process’ in that it fosters a connection with the collective unconscious, the root of consciousness. When an individual develops into a new integrated personality, we could gain strength from the support of ancestors, the support of the unconscious. The relationship with the spirits of ancestors is essential because consciousness has an important relationship with its root, the collective unconscious, especially for those of us living in an era of chaos where the fundamental meaning of human existence is lost due to rationalism and materialism.

들어가는 말
제1장. 조상신
제2장. 기제사의 형식과 절차
제3장. 『주자어류』권3(귀신과 제사)에 대한 분석심리학적 고찰
맺는말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