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유치원부터 고등학교까지 통합교육 지원 순회교육을 받는 자녀를 둔 학부모를 대상으로 면담을 시행하여 현재 통합교육을 지원하기 위한 순회교육에 관한 실태나 만족을 살펴보고, 요구를 중심으로 앞으로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서울특별시교육청의 전 지역교육지원청에 소속된 자녀의 학부모를 모두 포함하도록 연구 참여자를 모집하여 총 18명의 학부모 중 12인의 경우 2번에 걸쳐 초점집단면담(FGI)에 참여하였고, 6인의 경우 서면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학부모가 인식하는 순회교육 운영 전반에 관한 내용과 순회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요구를 중심으로 부족함을 느끼는 순회교육 운영 실태, 요구 기반 순회교육 교육과정 운영, 순회교육에 대한 만족과 우려 공존, 안정적인 순회교육 지원 제공 보장, 순회교육 교육과정의 탄탄한 수립에 관한 요구, 순회교사와 학부모와의 긴밀한 교류, 순회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와의 교류, 순회교육 지원 개선 요구에 관한 의견이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통합교육 지원 순회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을 논의 및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and satisfaction of itinerant education to support inclusion among parents whose children are receiving itinerant education to support inclusion from kindergarten to high school, and to seek future improvement plans based on their needs. The participants were recruited to include all parents of children belonging to all local education support offices of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and focus group interviews (FGI) were conducted twice with a total of 12 par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parents' perceptions of the overall operation of itinerant education and their needs for itinerant education, as well as their opinions on the current state of itinerant education, which they perceive to be inadequate, the operation of a needs-based itinerant education curriculum, the coexistence of satisfaction and concerns about itinerant education, ensuring stable provision of itinerant education support, the need to establish a solid itinerant education curriculum, close interaction between itinerant teachers and parents, interaction between itinerant teachers and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and the need to improve itinerant education support.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desirable direction of future integrated education support itinerant education was discussed and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