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82
18.97.14.82
close menu
한국 지방자치단체장의 정치성향과 사회적 배경의 다양성에 관한 연구 (1995-2022년): 소속정당을 중심으로
권경득 , 유정모

지방자치가 부활된 이후 지방자치단체장의 역할과 권한이 점차 강화되고 있다. 한국의 지방자치단체장은 누구인가? 지방자치단체장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지만 이들의 사회적 배경에 관련 연구는 아직도 미미한 수순이다. 본 연구는 1995년부터 2022년까지 선출된 한국 지방자치간체장의 사회적 배경의 다양성을 살펴보았다. 사회적 경을 성별, 연령, 학력, 직업, 정당 등으로 분류하고 이들 사회적 배경변수의 다양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양성 분석을 위해 심슨 지수와 다양성 지수(IQV)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한국 지방자치단체장의 사회적 배경은 여전히 남성중심, 50대, 고학력 중심, 정치인 및 행정가 중심, 거대 정당 출신으로 나타나고 있다. 한국 지방자치단체장의 사회적 배경변수는 성별변수를 제외하고는 지역사회의 다양한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반영하는 방향으로 점차 진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기초자치단체장이 광역자치단체장보다 사회적 배경의 다양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지역사회 권력(파워)엘리트의 사회적 배경의 변화과정을 이해하는데 실증적 토대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