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는 과거에 비해 물질적으로 비약적인 성장을 하였고, 과학의 발전과 함께 의료 분야도 그야말로 눈부신 발전을 하여 인간의 평균수명은 100살을 코앞에 두고 있다. 그러나 그 내부적으로 보면 그리 간단하지는 않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60살이 되면서 병원을 일상으로 들락거린다. 100살의 삶이 결코 간단한 것만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예나 지금이나 인간들이 가장 관심을 두고 있는 養生에 초점을 두고, 동양 고전의 여러 사상가의 양생 관련 개념을 고찰하였다. 특히 현대 사회에서 많이 거론하는 治癒로서의 고전 용어가 양생이 아닐까라는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양생의 개념이 시대나 사상가에 따라 조금씩 차이를 보이지만, ‘양생’의 궁극적인 목적은 현실적으로 이 세상에서 재난 없이 天壽를 누리는 것이다. 행복이나 신의 은총이나 불보살의 자비로 이 세상에 사는 동안 이로움을 얻는다는 永生 갈구의 ‘現世利益’으로 대변할 수 있다. 그래서 양생술을 배워 건강을 지키는 것은, 마치 봄에 씨를 뿌리고 여름에 영양분을 주면서 가꾸면 가을에 수확의 즐거움을 맛보거나, 초목을 심고 아침저녁으로 정성스럽게 가꾸어 자라는 모습을 바라보며, 그 성장을 즐기는 것과 같다고 하였다. 이러한 동양의 양생관은 인도나 중국 도교의 일파에서는 체내에서 생성된 에너지인 정력[氣]을 방출하지 않고 머물게 하여 체내에 순환시켜 정신을 안정되게 유지하는 것이 건강 유지라고 생각하였다.
Modern society has made a remarkable growth in materials compared to the past, and the medical field has made a remarkable development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he average life expectancy of human beings is about 100 years old. but it is not so simple internally.
Most people go in and out of the hospital on a daily basis as they turn 60. Life at 100 is never simple. Therefore, in this thesis, the concepts related to life of many thinkers in the Eastern Classics were considered, focusing on life of life that humans are most interested in both now and now. In particular, it was analyzed from the point of view that the classical term as a rule that is often mentioned in modern society is Yangseon(養生).
Although the concept of curing varies slightly depending on the age or thinker, the ultimate goal of “curing” is to actually enjoy the heavenly world without disaster in reality. It can be represented by the realization of the desire to live in this world by happiness, the grace of God, or the mercy of Buddha Bodhisattva. So, to keep your health by learning curing is like enjoying the growth of the seeds in the spring and the nutrients in the summer, enjoying the pleasure of harvesting in the autumn, planting the vegetation and cultivating it carefully in the morning and evening. In the eastern part of the Taoism of India and China, it was thought that it would be healthy to keep the spirit stable by circulating in the body without releasing the energy, which is the energy generated in the bo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