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배경: 트라우마가 초래한 정신건강 문제는 사건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특히 성적 외상사건 경험자는 다른 유형의 외상사건을 경험한 사람들보다 정신건강 결과가 부정적이라고 알려져 있을 뿐만 아니라, 디지털 성범죄 등 성적 사건에 노출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위협이 커지고 있다. 이 연구는 성적 트라우마 사건을 중심으로 트라우마 사건의 유형이 정신건강의 차이를 유발하는지 확인하고, 자살생각과 잠재적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위험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전국 20대부터 50대까지 성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토대로, 경험한 트라우마 사건의 유형에 따라 분석대상자를 구분하였다(성적 트라우마 경험자, 비성적 트라우마 경험자). 성적 트라우마 사건 경험 여부를 제외하고 정신건강(자살생각, 잠재적 PTSD 위험수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구사회학적 요인(성, 연령, 주관적 경제수준, 결혼상태)과 회복 보호요인(사회적 지지, 회복 가능성 인지, 아동기 보호경험)을 공변량으로 propensity score matching (PSM)을 실시하였다. 이후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하였다.
결과: PSM 후에도 성적 트라우마 경험자는 비성적 트라우마 경험자보다 자살생각과 잠재적 PTSD 위험수준이 부정적이었다.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성적 트라우마 경험자는 비성적 트라우마 경험자보다 자살생각이 1.9배(odds ratio [OR], 1.911), 잠재적 PTSD 위험수준은 2.5배(OR, 2.472) 높았다. 또한 트라우마 회복 인식, 사회적 지지, 아동기 보호 경험과 같은 회복 보호요인이 부정적일수록 자살생각과 잠재적 PTSD 위험수준의 가능성이 높아졌다.
결론: 이 연구는 성적 트라우마 경험에 대한 이해와 지원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성적 트라우마 경험자의 자살생각과 잠재적 PTSD 위험을 완화하고 회복을 돕기 위해 회복 보호요인을 촉진하는 전략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Background: The mental health issues caused by trauma can manifes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umatic event. Particularly, individuals who have experienced sexual trauma are known to have more negative mental health outcomes compared to those who have experienced non-sexual trauma. The mental health issues of individuals who have experienced sexual trauma are severe, and new forms of threats, such as digital sexual crimes, are emerging.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the type of traumatic event, particularly focusing on sexual trauma events, contributes to differences in mental health outcomes an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suicidal ideation and potential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risk.
Methods: Based on an online survey conducted nationwide among adults aged 20 to 50, participants were categorized based on the type of trauma they experienced (sexual trauma events and non-sexual trauma events). The study conducted propensity score matching (PSM) using demographic factors (sex, age group, subjective economic status, and marital status) and resilience protective factors (cognition of recoverability, social support, and protection experiences in childhood) as control variables, excluding the experience of sexual trauma events, to investigate their potential impact on mental health (suicidal ideation and potential PTSD risk). Subsequently,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mental health.
Results: Even after PSM, individuals who experienced sexual trauma exhibited more negative outcomes in terms of suicidal ideation and potential PTSD risk compared to those who experienced non-sexual trauma. The results of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sexual trauma survivors were 1.9 times more likely to have suicidal thoughts (odds ratio [OR], 1.911) and 2.5 times more likely to have a potential PTSD risk (OR, 2.472). Furthermore, as resilience protective factors became more negative, the likelihood of suicidal ideation and potential PTSD risk increased.
Conclusion: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and supporting individuals who have experienced sexual trauma, highlighting the necessity for strategies aimed at mitigating suicidal ideation and potential PTSD risk among sexual trauma survivors, while also facilitating recovery through the promotion of resilience protective fac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