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90
18.97.14.90
close menu
Accredited
중학생의 또래 괴롭힘 주변인 행동 프로파일: 부모와의 개방적 의사소통 및 자기개방적 학급풍토와의 관계
Profiles of Participant Roles in Bullying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Relations with Open Communication with Parents and Self-Disclosing Classroom Climate
황혜영 ( Hyeyoung Hwang ) , 장유진 ( Yujin Chang ) , 공영희 ( Younghee Kong ) , 김명섭 ( Myung-seop Kim )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괴롭힘 주변인 행동 프로파일을 탐색하고, 부모와의 개방적 의사소통과 자기개방적 학급풍토가 중학생의 괴롭힘 주변인 행동 프로파일과 어떠한 관련성을 보이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충청북도에 소재한 중학교 학생 392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자기보고식 설문을 통해 또래 괴롭힘 주변인 역할(방관자, 피해-방어자, 가해-동조자), 자기개방적 학급풍토, 부모와의 개방적 의사소통을 측정하였다. 잠재프로파일 분석 결과, 중학생의 괴롭힘 주변인 행동 유형은 피해자 방어 행동이 높고 방관과 가해자 동조 행동이 낮은 피해자 방어형, 방관 수준이 높고 피해자 방어 수준은 가장 낮은 방관형, 방관, 피해자 방어, 가해자 동조가 모두 평균 수준인 평균형의 세 가지 프로파일로 나타났다.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부모와의 개방적 의사소통과 자기개방적 학급풍토가 괴롭힘 주변인 행동 프로파일을 어떻게 예측하는지 확인한 결과, 부모와의 개방적 의사소통이 높고, 자기개방적 학급풍토가 높다고 지각할수록 평균형이나 방관형에 비해 피해자 방어형 프로파일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한편, 부모와의 개방적 의사소통과 자기개방적 학급풍토 정도가 평균형에 비해 방관형이 되는 데에는 유의한 관계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끝으로, 괴롭힘 주변인 행동 연구에 있어 개인중심 접근이 지니는 의미와 본 연구 결과가 괴롭힘 예방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profiles of participant roles in bullying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and examined how open communication with parents and a self-disclosing classroom climate are related to these profiles. A total of 392 middle school students in Chungcheong province participated, complet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to measure their participant roles in bullying, open communication with parents, and a self-disclosing classroom climate.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a three-profile model(bystander, victim-defender, and average) was chosen as the final model.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s were used in order to examine whether students’ perceptions of open communication with their parents and self-disclosing classroom climate predicted latent profile membership. The results indicated that both open communication with parents and self-disclosing classroom climate were associated with higher odds of being in the victim-defender profile compared to the average and bystander profiles. Finally, the significance of a person-centered approach to research on participant roles in bullying and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for bullying prevention were discussed.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