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84
18.97.14.84
close menu
Accredited
기업의 보험수요와 기업가치에 대한 연구
A Study on Corporate Insurance Demand and Corporate Value
이현복 ( Hyunboc Lee )

본 연구는 아직 논쟁 중에 있는 기업의 보험수요 결정요인을 실증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기업의 보험수요와 기업가치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계획되었다. 이를 위하여 2001년부터 2022년까지 총 22년간의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363개별기업의 재무자료 등과 거시경제변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실증분석은 연구모형 1과 연구모형 2로 개발하여, 고정효과패널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모형 1의 분석결과 기업의 규모, 성장성, 재무상태, 파산비용, 조세, 거시경제 특성은 기업의 보험수요에 결정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대리변수로 사용된 기업의 자산, 매출액, 매출액대비순익비율, 부채비율, 이자보상비율, 법인세, GDP성장률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기업보험수요에 정(+)의 영향을 주고 있으며, 매출액대비R&D비율, 유동비율, 자본금대비 자기자본비율은 부(-)의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연구모형 2의 분석결과 매출액대비보험료비율은 기업의 시가총액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기업보험 수요는 기업가치 증대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업의 규모가 크고, 성장성이 높을수록, 재무상태가 부실할수록, 파산 위험이 클수록, 법인세를 많이 납부할수록 기업보험수요가 증가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기업의 보험수요는 기업의 경영활동의 하나로 기업의 궁극적 목적인 기업가치 극대화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는 것을 보여준다.

This study aimed to empirically verify the determinants of corporate insurance demand,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insurance demand and firm value. To achieve this, financial data of 363 individual companies listed on the KOSPI from 2001 to 2022 and macroeconomic variables were collected and used for analysis.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wo research models, Model 1 and Model 2, through fixed-effects panel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of Model 1 confirmed that the size, growth, financial condition, bankruptcy costs, taxation, and macroeconomic characteristics of companies are determinants of corporate insurance demand and the analysis results of Model 2 showed that the premium-to-sales ratio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market capitalization of companies, indicating that corporate insurance demand has a positive impact on increasing firm valu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orporate insurance demand increases with larger size, higher growth, poorer financial condition, and greater bankruptcy risk, as well as with higher corporate tax payments. Moreover, corporate insurance demand positively contributes to maximizing firm value, serving as a part of a company’s management activities.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Ⅲ. 실증분석
Ⅳ.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