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자아존중감이 항공사 조종사들의 안전문화와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직무만족도가 이들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갖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자아존중감이 안전문화와 안전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직무만족도를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자아존중감은 안전문화에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직무만족도를 통해 간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자아존중감은 안전행동에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직무만족도는 이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였다. 이는 자아존중감이 높은 조종사일수록 안전행동을 더 적극적으로 실천하며, 직무만족도가 이 같은 행동을 촉진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는 항공사에서 조종사들의 자아존중감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과 지원, 직무만족도 향상을 위한 공정한 보상, 근무 환경 개선, 경력 개발 기회 제공 등의 조직적 지원이 중요함을 보여주며, 이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self-esteem on the safety culture and safety behavior of airline pilots and to confirm whether job satisfaction has a mediating effect in these relationships. It was examined whether self-esteem directly affects safety culture and safety behavior, and indirectly through job satisfac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self-esteem did not have a direct significant effect on safety culture, but indirectly had a positive effect through job satisfaction. In addition, self-esteem had a direct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afety behavior, and job satisfaction partially mediated this relationship. This suggests that pilots with higher self-esteem practice safety behavior more actively, and job satisfaction can promote such behavior. These results show the importance of organizational support such as programs and support for enhancing pilots' self-esteem, fair compensation for improving job satisfaction, improving working environment, and providing career development opportunities in airlines, and are intend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th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