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9
216.73.216.29
close menu
KCI 후보
전공능력 기반 전공교육과정이 학습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S대학 의상디자인 관련 전공의 사례
The Influence of Major-Specific Competency-based Curriculum on Learner Satisfaction: A Case Study of Fashion Design Major at S University
노은영 ( Eunyoung Roh )
DOI 10.62783/SHSS.6.3.52
UCI I410-151-25-02-091530610

연구 목적: 전공능력 기반 전공교육의 실효성과 효과적인 방향성 및 개선 등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의상디자인 관련 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전공능력 기반 교육과정의 학습자 학습시기별, 전공교육과정 영역별 학습자 만족도가 전공능력 기반 전공교육과정의 전반적인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연구 방법: 이를 위해 S대학의 의상디자인 관련 전공의 학생 46명을 대상으로 1학년 2학기, 3학년 2학기에 온라인 설문을 통해 전공교육과정 구성, 진로 및 취업 지원, 전공교육과정 개편, 전공교육과정의 전반적인 만족도 등 총 48문항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SPSS 21.0을 사용하였으며, 빈도분석, 기술통계, 신뢰도분석, 중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내용: 첫째, 학습자의 전공교육과정 영역별 만족도는 학습 시기와 상관없이 ‘수업운영’에 대한 만족이 타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1학년 1학기를 마친 시점에서 ‘전공교과목 선택기준’과 ‘수업운영’에 대한 만족도가 전반적인 교육과정 만족도에 정의 관계로 나타났다. 셋째, 1학년 1학기를 마친 시점에서 ‘전공학습 참여도’ 의 경우 전공능력 기반 교육과정의 전반적인 교육과정 만족도에 부의 관계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3학년 2학기를 마친 시점에서 ‘전공교육과정 구성’에 대한 만족도가 전반적인 교육과정 만족도에 정의 관계로 나타났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전공능력 기반 전공교육과정의 구성이 체계적으로 운영되었을 때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고, 전공능력 기반 교육의 실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효과적인 전공능력 기반 교육의 방향성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지만 본 연구의 한계점은 S대학 내 의상디자인 관련 전공 학생으로 조사대상이 한정되어 향후 타 대학의 유사전공을 포함한 연구 및 전공에 특화된 수업 설계와 평가 체제 구축 연구 등의 후속 연구가 이루어기를 바란다.

The principal aim of this investigation was to meticulously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learner satisfaction levels across distinct stages of learning and various components of the fashion design competency-based curriculum, and their collective impact on overall satisfaction.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46 students, and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21.0. Learners’ satisfaction with different aspects of their major curriculum revealed that the highest level of satisfaction was associated with ‘course management.’ At the conclusion of the first year, satisfaction with ‘criteria for selecting major courses’ and ‘course management’ exhibit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overall satisfaction. By the conclusion of the third year, satisfaction with the ‘structure of the major curriculum’ demonstrat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overall satisfaction. Conversely, at the end of the first year, ‘participation in major studies’ was identified as a factor negatively influencing overall educational satisfac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ffirm that the meticulous execution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 majors leads to heightened satisfaction levels, thereby substantiating the effectiveness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Consequently, the provision of data elucidating the trajectory of effective competency-based education is of paramount significance.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