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226.214.32
18.226.214.32
close menu
KCI 등재
교원의 AI·디지털 역량에 대한 교육요구 분석
Needs assessment for teachers’ AI-digital competencies
이현우 ( Hyeon Woo Lee ) , 장민경 ( Min Gyeong Jang ) , 임규연 ( Kyu Yon Lim ) , 서정희 ( Jeonghee Seo ) , 허희옥 ( Heeok Heo )
DOI 10.15833/KAFEIAM.30.3.955

본 연구의 목적은 교원의 AI·디지털 역량 및 행동지표를 이용하여 교사의 AI·디지털 역량을 진단하고 교육 요구를 분석하여 교사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 초·중·고 교사 1,617명을 대상으로 교원의 AI·디지털 역량에 관한 중요도와 보유도를 묻는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교원의 AI·디지털 역량 및 행동지표의 중요도-보유도 차이에 대한 대응표본 t검정과 Borich 요구도 분석, Locus for focus 분석을 하고, 각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교육 요구의 최우선 순위와 차순위 항목을 도출하였다. 또한 학교급별 교사들의 행동지표에 대한 교육요구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역량 수준에서는 AI·디지털 윤리 실천, 자기개발, 사회참여와 관련하여 교육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행동지표 역시 자기개발과 사회참여, 윤리 실천 역량에 포함되는 항목들이 최우선 순위로 나타났으며, AI·디지털 기술 활용, 교육평가와 성찰 역량의 행동지표들 또한 교육 요구가 높았다. 학교급별로 살펴본 결과에서는 윤리실천, 자기개발, 사회참여 역량의 행동지표가 모든 학교급에서 공통적으로 높은 교육요구도를 보였다. 그리고 초등학교 교사들은 AI를 활용한 맞춤형 학습활동설계에 대한 교육요구가 높았으며, 중고등학교 교사들은 맞춤형 피드백 제공에 대한 교육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원의 AI·디지털 역량 증진을 위해서는 AI·디지털 윤리에 대한 심화 수준의 교육과 더불어 자기개발과 사회참여 역량에 대한 교사교육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또한 교원의 AI·디지털 역량과 관련하여 행동지표의 수준에서 맞춤형 교사교육을 제안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educational needs in terms of teachers’ AI-digital competencies and suggest implications for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To this e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nationwide to inquire about the perceived level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eachers’ AI-digital competencies. Responses from 1,617 teachers were analyzed using paired-sample t-tests, the Borich model,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to identify the differences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regarding teachers’ AI-digital competencies and behavioral indicators. The analysis revealed high educational needs in AI-digital ethics, self-development, and social participation. Additionally, behavioral indicators related to the use of AI-digital technology, educational evaluation, and reflection showed high dem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wed a high demand for training in designing customized learning activities using AI, while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showed a high demand for training in providing customized feedback. The study suggested that in order to improve teachers’ AI-digital competencies, advanced education on AI-digital ethics, self-development, and social participation is necessary. In addition, a customized teacher education program was proposed at the level of behavioral indicators in relation to teachers’ AI-digital competencies.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