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9.169
18.97.9.169
close menu
Accredited
인성교육을 위한 분노조절 프로그램 개발 시 고려할 분노조절 능력의 핵심 요소 탐색
Exploring the Key Elements of Anger Management for the Development of a Character Education Program Focused on Emotional Competence
조석환 ( Cho Sug Hoan )

본 연구의 목적은 인성교육적 분노조절 프로그램 개발 시 고려해야 할 분노 조절 능력의 핵심 요소를 정서적 유능성을 중심으로 탐색하고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분노의 심리학적 정의와 특성을 분석하고, 정서적 유능성의 개념 속에서 분노조절 능력의 주요 구성 요소를 도출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다양한 문헌을 검토하여 분노와 정서적 유능성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분노조절 능력의 핵심 요소를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로 정서 인식 능력, 정서 이해 능력, 정서 표현 능력, 정서 공감 능력, 정서의 사회적 기술이 분노조절 능력의 핵심 요소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정서 인식 능력은 개인이 자신의 분노를 즉각적으로 인식하는데 필수적이며, 정서 이해 능력은 분노의 원인과 과정을 이해하여 적절한 대응을 가능하게 한다. 정서 표현 능력은 분노를 사회적으로 수용 가능한 방식으로 표현하는 능력이다. 정서 공감 능력은 타인의 분노를 이해하는 데 중요하며, 정서의 사회적 기술은 분노 상황에서 효과적인 의사소통과 갈등 해결을 가능하게 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분노조절 능력의 핵심 요소가 반영된 분노조절 프로그램의 개발의 적용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d propose the core elements of anger management that should be considered when developing a character education-based anger management program, centered on emotional competence. This involved analyzing the psychological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anger and deriving the main components of anger management ability within the framework of emotional competence. The research methodology consisted of reviewing various literatures to analyze anger and emotional competence, and subsequently proposing the core elements of anger management ability. The findings identified the abilities of emotional recognition, emotional understanding, emotional expression, emotional empathy, and social skills of emotions as the core components of anger management. In conclusion, emotional recognition is essential for individuals to immediately recognize their anger, while emotional understanding enables appropriate responses by understanding the causes and processes of anger. Emotional expression capacity allows for expressing anger in a socially acceptable manner. Emotional empathy is crucial for understanding others' anger, and social emotional skills facilitate effective communication and conflict resolution in anger situations. Future research should focus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ger management programs that incorporate these core elements.

Ⅰ. 서론
Ⅱ. 분노 및 분노조절의 심리학
Ⅲ. 분노조절 능력의 핵심 요소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