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83
18.97.14.83
close menu
Accredited
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창의적 인성 교육실행 간의 관계에서 창의적 인성과 상호작용능력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Creative Personality and Interaction A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Empathy and Creative Personality Education Implementation
황윤세 ( Hwang Yoon Se )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공감능력이 창의적 인성교육실행에 미치는 영향에서 창의적 인성과 유아-교사상호작용능력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소재한 유치원에 재직 중인 197명의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는 우선 유아교사의 공감능력, 창의적 인성, 유아-교사상호작용능력, 창의적 인성교육실행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창의적 인성교육실행 간의 관계에서 창의적 인성과 유아-교사상호작용 능력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교사의 창의적 인성교육실행에는 교사의 공감능력, 창의적 인성, 유아-교사의 상호작용 능력이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특히 이러한 연구결과는 유치원에서 인성을 위한 교사의 공감능력, 창의적 인성, 유아-교사상호 작용을 고려한 프로그램임 개발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empathy ability and the performance creativity and personality through the sequentially mediating effect of creative character and child-teacher interaction. Using the questionnaire survey method, 197 teachers working at kindergarten in Gyeonggi Province and Kangwon Province participated. The teachers' creative character and child-teacher interaction sequen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empathy ability and the performance creativity and personality.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