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89
18.97.14.89
close menu
Candidate
청소년 대상 마음챙김 기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예비 연구: 마음챙김, 자기연민, 안녕감 및 학교적응을 중심으로
A Preliminary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indfulness-based Program for Adolescents: Focusing on Mindfulness, Self-compassion, Well-being, and School Adjustment
정하나 ( Jung Ha Na ) , 홍채영 ( Hong Chae Young ) , 박은 ( Park Eun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사회정서적 적응능력 향상을 위한 마음챙김 기반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예비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선행 연구 및 프로그램들을 고찰하여, 마음챙김, 자기연민, 사회적 연결감, 감사를 구성요인으로 하는 마음챙김 기반 예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하였다. 연구참여 대상자는 평창시 소재의 중학교 2개교에 재학 중인 1-3학년 총 173명이며, 프로그램은 2개의 주제 하에 총 4회기를 2023년 7-8월에 실시하였으며, 한 회기당 45분씩 진행하였다. 프로그램 효과 검증을 위해, 청소년의 사회정서적 적응능력과 관련 있는 마음챙김, 자기연민, 안녕감, 학교적응을 사전, 사후 검사를 통해 측정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프로그램 실시 후 청소년의 마음챙김, 자기연민, 안녕감, 학교적응의 하위요인인 학교생활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향후 프로그램 개발 및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In advance of developing a mindfulness-based program to improve socio-emotional adaptability in adolescents, this study aimed to carry out a preliminary program and verify its effectiveness. Thus, by reviewing the previous researches and the existing programs, this study prepared such factors as mindfulness, self-compassion, social connectness, and gratitude, and developed and conducted a preliminary mindfulness-based program with those factors contained. As research subjects, this study selected 173 students in the 7th to 9th grade from two middle schools located in Pyeonchang City, and carried out four sessions of the program under two different topics from July to August in 2023, and each session lasted 45 minutes. To verify the program effectiveness, this study measured mindfulness, self-compassion, well-being and school adjustment through pretest and post-test, which are related to socio-emotional adaptability in adolescents, and analyzed the collected data through SPSS 21.0.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after the program,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found in school life, as a sub-factor of mindfulness, self-compassion, well-being and school adjustment in adolescents. Based on such a finding, this study is planning to discuss its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in addition to future program development and research direction.

서 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