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9.172
18.97.9.172
close menu
Accredited
20대 여성의 가다실 9가에 대한 지불의사액 추정 - CVM 이중양분선택형 이변량 프로빗 모형을 이용하여 -
Estimating the willingness to pay for Gadasil9 in women in their20s - Using double bounded dichotomous choice method and bivariate probit model -
김시원 ( Siwon Kim ) , 김지후 ( Jihoo Kim ) , 이나라 ( Nara Lee ) , 최문수 ( Moon Soo Choi ) , 이상현 ( Sang Hyeon Lee )

국내에서 가다실 9가 백신을 국가예방접종지원사업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매우 높으나, 연구마다 비용 대비 효과가 다르게 나타난다. 하지만 기존 연구에서는 사람들이 백신 접종에 얼마나 많은 가치를 두는지에 대한 정보는 부족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소비자가 가다실 9가에 부여하는 가치를 측정하고자 조건부가치측정법(Contingent Valuation Method)을 이용하여 지불의사액을 추정하였으며, 소비자 가치의 결정 요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이중경계 양분질문법(double bounded dichotomous choice method)과 이변량 프로빗 모형(bivariate probit model)을 채택하였다. CVM 분석을 수행해 본 결과, 20대 여성의 가다실9가에 부여하는 가치는 평균 177,478원으로 분석되었으며, 월 평균 지출액, 접종한 백신의 종류, 가다실 9가 효능에 대한 인식 수준, 자궁경부암 검진 및 치료 비용에 대한 인식수준에 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Research is actively being conducted in Korea to apply the Gadasil 9 vaccine to the national vaccination support project. Social interest in this is very high, but the cost-effectiveness varies from study to study. Until now, government-level studies have been conducted using costs such as treatment costs, time costs, and nursing costs. On the other hand, to measure the value that consumers give to Gadasil 9, this study aims to estimate the willingness to pay(WTP) using the Containing Valuation Method and to reveal the determinants that make consumers give high value. Since Gadasil 9 is an exclusive good whose price is determined by a monopoly company and is a type of medical service, this study adopted a double bound dichotomous choice method and a bivariate probit model. As a result of conducting CVM analysis,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paid to the average monthly expenditure, the type of vaccine inoculated, the level of awareness of the efficacy of Gadasil 9, cervical cancer screening, and treatment costs, and a new direction can be presented. In addition, follow-up studies should be conducted considering the number of unvaccinated patients and the effect of re-vaccination of Gadasil 9 vaccine in vaccinated people.

Ⅰ. 서론
Ⅱ. 관련 이론 및 연구 고찰
III. 자료 수집 및 분석
IV. 모형 추정 및 비용 편익 분석
V. 결론 및 연구 한계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