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제주지역에서 발생한 관광객 안전사고 발생현황을 GIS를 통하여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제주지역 관광객 안전사고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주도 동부 읍면지역이 연구대상지로 선택되었으며 2021년도가 연구기간으로 설정되었다. 분석에는 2021년 1년간 제주지역에서 발생한 관광객 안전사고 데이터와 안전사고 발생에 따른 구급출동 데이터가 활용되었다. 안전사고 발생현황 데이터를 바탕으로 제주 전지역에 대한 관광객 안전사고 발생 현황에 대한 분석을 우선적으로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월별, 시간별, 장소별 관광객 안전사고의 발생 패턴을 확인하였다. 이어서 공간데이터를 바탕으로 격자분석과 중첩분석을 활용하여 관광객 안전사고와 구급출동 현황을 분석하여 관광객 안전사고 취약지역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광객 안전사고에 대한 GIS 분석을 통하여 관광객의 활동 특성을 고려한 안전사고 예방 및 대응 대책의 필요성을 제시하였으며, 특히 취약지역에 대한 관광시설물 점검과 안전사고 예방 홍보 활동과 같은 적극적인 예방조치가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accidence of tourist safety accidents in Jeju using GIS and to expand the understanding of tourist safety accidents in the Jeju area. For this purpose, the eastern part of Jeju was selected as the study area, with the research period set for the entire year of 2021. The analysis utilized data on tourist safety accidents and emergency dispatch data resulting from these accidents in Jeju throughout 2021. Based on this safety accident data, an initial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accidence of tourist safety accidents across Jeju Island. This analysis identified patterns in the occurrence of tourist safety accidents by month, time, and location. Subsequently, using spatial data, grid analysis, and overlay analysis, the study examined the status of tourist safety accidents and emergency dispatches to identify vulnerable areas. Through this GIS analysis of tourist safety accidents, the study highlights the need for preventive and responsive measures considering the activity characteristics of tourists. It emphasizes the necessity of proactive preventive measures such as inspecting tourist facilities and promoting safety accident prevention, particularly in vulnerable are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