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84
18.97.14.84
close menu
Accredited
극기(克己)의 의미 변용과 근대성
The Change in the Mining of ‘Guek-ki’ and Modernity
이일래 ( Lee Yil-lae )
DOI 10.17207/jstc.2024.3.27.1.4

원래 극기(克己)는 논어의 극기복례(克己復禮)에서 유래된 말로 폐쇄적 자아로서 나를 초극해서 사랑을 행하는 이타심을 추구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이와는 다른 의미로 많이 쓰이는데 금욕이나 인내를 의미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의미 변화에서 각각 원래 의미는 무엇이며 어떤 연원에서 비롯되는지 살펴볼 뿐 아니라 두 의미 간의 차이와 변화가 놓여있는 사회적 맥락과 기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 변화가 지닌 의미를 짚어봄으로써 우리에게 근대성이란 무엇인지 성찰해보고자 하였다. 극기의 의미 변용은 그리스철학의 아파테이아나 기독교의 모르티피카티오를 극기로 번역하면서 비롯되었다. 이후 그 의미는 더욱 확장되어 교육이나 스포츠 등 다양한 사회영역에서 인내 특히 육체적 인내를 의미하거나 이를 수행하는 것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인내를 기르기 위한 극기훈련 등도 학교나 기업에서 많이 실행된다. 전통적 극기의 의미는 두 가지로 변화하였다. 먼저 금욕으로서의 극기로 육체적 욕망을 정신의 통제 하에 두는 것이다. 이는 그리스 철학이나 기독교 사상의 영향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밑바탕에는 서구 심신이원론의 부정적 신체관이 자리한다. 둘째, 목표지향적 행위로서의 극기다. 학교, 스포츠, 기업 등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것으로 자신의 개인적 목표를 위해 현재의 욕구를 참고 이기는 것을 말한다. 전자의 경우 그래도 유가와 마찬가지로 도덕적 수양의 의미를 지니고 있었으나, 후자의 경우 이러한 의미는 완전히 사라지고 더 큰 자신의 이기심을 충족시키기 위한 수단적 행위로 수행된다. 오늘날 극기는 자본주의적 인간과 생활태도를 확립하고 확산하기 위한 구호이자 장치라고 할 수 있다. 베버의 행위분류를 원용하자면 극기는 원래 이타성을 지향하는 가치 합리적 행위에서, 오늘날에는 이기성을 추구하는 목적합리적 행위로 변화하였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심신이원론은 서구에서는 근대 이전부터 지배적이었고 근대 이후로도 이어져 온 흐름이기 때문에 극기의 의미가 금욕으로서의 극기로 변화한 것을 서구화로, 목표지향적 행위로 변화한 것을 근대화로 볼 수 있다.

Originally, ‘guek-ki(self-overcoming)’ was the concept of Confucianism and the pursuit of altruism. Today, however, it has changed to mean abstinence or patience. In this study, we concretely investigated what the original meaning and what the changed meaning. And we also found out where it originated. Above all, we identified the social context and function in which the difference and change of the two meanings are located. Currently, it is used in a different sense, and it is accepted to mean abstinence or patience. It originated from the translation of the Greek philosophy of apartheid or the Christian Mortipicatioin into guek-ki. Currently, the East Asian meaning of guek-ki has changed into two patterns. First, as guek-ki as abstinence, it puts physical desire under the control of the mind. Second, it is guek-ki as a goal-oriented behavior. It is common in schools, sports, and companies, and refers to enduring and overcoming current desires for one’s personal goals. Finally, guek-ki became a means to satisfy one’s selfishness from pursuing the goal of altruism. Guek-ki can be said to be a slogan and a device for establishing and spreading capitalist humans and living attitudes in Modern society. The change in the meaning of guek-ki to abstinence can be seen as Westernization, and the change to goal-oriented behavior can be seen as modernization.

Ⅰ. 머리말
Ⅱ. 극기의 전통적 의미
Ⅲ. 극기의 현대적 의미와 용례
Ⅳ. 극기, 서구화 또는 근대화
Ⅴ. 맺음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