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KCI 후보
Embodied Intermediality: A Theoretical Investigation with an Analysis of < All the Vermeers in New York >
체현적 상호매체성: 이론적 고찰과 <뉴욕의 모든 베르미어들>(1990) 분석
박선 ( Park Sun )
반영과 재현 7권 249-270(22pages)
UCI I410-151-25-02-091487034

이 연구는 상호매체성의 의미효과를 수용자의 감각적, 인지적 반응의 관점에서 고찰한다. 상호매체성은 이종적 매체들을 통합하여 특유의 감각적, 의미적 효과를 창출해낸다. 그러나 수용자가 어떠한 방식으로 상호매체적 산물의 의도를 파악하고 그 의미를 음미하는지는 광범위한 논의를 요구한다. 이 연구는 상호매체성의 의미효과가 수용자의 서사발현과 도식활용의 능력에서 발생한다고 파악한다. 이를 위해 첫째, 미디어 연구자 라스 엘레스트룀(Lars Ellestrom)이 제안한 상호매체적 서사성의 개념을 검토한다. 엘레스트룀에 따르면 미디어 수용자는 그 대상이 회화와 같은 정적 매체라 할지라도 순차적으로 발생하는 복수의 사건이라는 서사적 해석을 주어진 이미지에 투사한다. 이러한 서사발현의 능력은 회화와 극영화가 공존하는 상호매체적 상황에도 동일한 적용된다. 그리하여 수용자는 두 매체의 공존에서 포괄적인 서사적 사태를 읽어낸다. 둘째, 이 연구는 상호매체적 산물이 보유할 수 있는 다수의 서사에서 핵심적인 서사만을 구별해내는 수용자의 능력이 인지적 도식(cognitive schemata)의 활용을 통해 가능하다고 판단한다. 수용자는 상호매체적 상황이 제시하는 감각적 자극을 동시적으로 해석하여 그로부터 일관된 의미를 파악해낸다. 이 과정은 수용자가 주관적 경험과 학습을 통해 습득한 도식을 주어진 상호매체적 자극에 투사하여 의미를 산출해내는 과정이다. 이 연구는 상호매체성은 수용자의 감각적, 인지적, 해석적 판단에서 그 최종적 의미를 발현한다고 주장하며, 그러한 현상을 체현적 상호매체성(embodied intermediality)로 규정한다. 논의의 말미에서는 존 조스트의 감독의 극영화 <뉴욕의 모든 베르미어들>(All the Vermeeers in New York, 1990)을 분석하여 해당 작품 안에 다양한 매체들이 인물이 처한 극적 상황 안에서 개인적 의미들로 귀속되는 과정을 검토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signification effects of intermediality from the perspective of users’ sensory and cognitive responses. Intermediality integrates heterogeneous media to create unique sensory and semantic effects. However, how users perceive the intention of intermedial artifacts and appreciate their meaning requires extensive discussion. This research identifies that the meaning effects of intermediality occur in users’ abilities to express narratives and utilize cognitive schemata. Firstly, it reviews the concept of intermedial narrativity proposed by media scholar Lars Ellestrom. According to Ellestrom, media users project a narrative interpretation onto given images, even if the object is a static medium like painting, perceiving them as a sequence of events. This ability for narrative expression applies similarly in situations where painting and film coexist. Consequently, users discern comprehensive narrative events in the coexistence of the two media. Secondly, the study determines that users’ ability to distinguish core narratives from multiple narratives that intermedial artifacts can possess is achievable through the utilization of cognitive schemata. Users interpret sensory stimuli from intermedial situations simultaneously to grasp consistent meanings. This process involves users projecting schemata acquired through subjective experiences and learning onto given intermedial stimuli to generate meaning. This research argues that intermediality manifests its ultimate meaning in users’ sensory, cognitive, and interpretative judgments, defining such phenomenon as embodied intermediality. Finally, the study analyzes John Jost’s film < All the Vermeeers in New York >(1990) to examine how various media within the work are attributed to personal meanings within dramatic situations.

1. Introduction
2. Conditions of Intermediality
3. Embodied Intermediality
4. Frames and Monitors in All the Vermeers in New York
5. Conclusion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