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해증권거래소(Shanghai Stock Exchange, SSE)는 중국 자본시장의 감독기관으로서 시장의 투명성을 제고하고 상장기업 정보공시의 진실성 및 건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의견서(Comment Letters)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의견서 제도는 감독기관이 상장기업 공시정보의 회계기준 준수정도를 평가하고 해당 기업에 질의서를 발송하며, 기업은 이에 대해 답변을 제공해야 한다.
Enron사태 이후 Sarbanes-Oxley Act 제408조에 따라 미국증권거래위원회(Securities and Exchange Commission, SEC)가 모든 상장회사의 공시정보 정확성을 3년마다 검토하는 의견서제도가 도입되었다. 제도 도입시에는 SEC의 의견서와 회사의 회신서가 공시되지 않았으나, 2005년 이후 정보공시가 강화되어 전체 문의 과정이 종료된 후 20일 이내에 모든 정보가 공개되고 있다. 중국의 의견서 제도가 미국의 제도에 기반하여 도입되었지만, 두 제도 간에는 다소 차이가 있다. 중국의 경우, 매년 상장기업의 공시정보를 검토하고 발송된 의견서를 즉시 공시하고 이에 대한 기업의 회신서도 즉시 공시된다. 이는 투자자들에게 신속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SSE 의견서의 즉각적인 공시는 자본시장의 반응을 연구하는 데 좋은 기회를 제공한다.
2016년부터 2022년까지 상해증권거래소의 의견서를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한 결과, 증권거래소(SSE)로부터 의견서를 수령한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 간에 공시일 시점의 주가 반응에 유의한 통계적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거래량은 SSE 의견서 수령 여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관찰되었다. 또한, SSE 의견서는 정기보고서에 관한 의견서(periodic reporting comment letters), 특수사항관련 의견서(Major Asset Restructuring Plan Comment Letter), 일반의견서(General Comment Letter)로 구분되는 바, 의견서 유형에 따른 시장반응의 차이여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정기보고서 관련 의견서를 받은 기업의 경우, 공시일에 거래량의 통계적 유의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정기보고서 의견서는 상장기업이 연간, 반기, 분기 보고서에서 나타난 잠재적 문제점에 대하여 질의를 받는 것으로, 이는 기업의 재무 건전성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담고 있다.
SSE 의견서가 주가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거래량 증가와 같은 다른 형태의 시장반응을 유발함으로써 중요한 시장정보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개발도상국으로서 투자자보호 제도가 취약한 중국의 자본시장에서 의견서 제도의 효과를 연구하는 것은 회계정보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