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9.175
18.97.9.175
close menu
핵심감사사항 항목수와 자기자본비용: 시장에서의 위험 인지
The relation between key audit matters and investors’ percieved risk
전성민 , 김현정
* This article is free of use.

본 연구는 핵심감사사항이 자본시장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지 확인하고 핵심감사사항으로 선정된 재무적 이슈에 대한 정보 공시가 투자자가 인식하는 위험을 증가시키는지 또는 정보를 공개함으로써 불확실성을 해소하는 역할을 하는지 자기자본비용을 통해서 확인한다. 핵심감사제도는 감사보고서의 정보 유용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감사인이 전문가적 판단에 따라 가장 유의한 사건을 선정하여 감사보고서에는 선정된 항목에 대한 설명과 더불어 선정 이유, 수행 절차 및 결과가 기재한다. 감사보고서에 기재되는 핵심감사사항의 항목 수가 많다면 핵심감사제도의 목적에 따라 유용한 정보가 증가한 것이라고 볼 수 있으나 동시에 기업의 재무적 이슈가 많다고 볼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투자자의 평가를 확인한다. 분석 결과 첫째, 핵심감사사항 항목 수와 자기자본비용 간 유의한 음(-)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둘째, 핵심감사사항의 항목 수와 재량적 발생액 간 유의한 음(-)의 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감사인이 보고하는 핵심감사사항의 항목 수가 많을수록 감사품질이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핵심감사사항을 보고함으로써 감사품질이 향상되고 이를 통해 자기자본비용이 하락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핵심감사제도의 시행 목표가 실질적으로 달성되고 있는지 확인했다는 점에서 공헌점을 지닌다. 또한 핵심감사사항이 정보이용자의 불확실성을 해소하는 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외부감사인과 피감기업의 부담을 낮출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시한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