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례: 65세 남자 환자가 5일 전부터 얼굴과 눈이 노래지고 소변의 색이 진해져 내원하였다. 환자는 고혈압, 당뇨병으로 약물 치료 중이었으며 약 10개월 전 우측 서혜부 및 허벅지의 종물이 촉지되어 시행한 조직 검사 결과 미만성 거대B세포림프종 (diffuse large B cell lymphoma) stage III로 진단받고 9개월 전부터 anti-CD20 단클론항체인 rituximab 640 mg, cyclophoaphamide 1,250 mg, doxorubicin 85 mg, vincristine 2 mg, prednisolone 60 mg을 병합 투여하는 항암 화학 요법(R-CHOP)을 6번 주기 시행받았다. 이후 자가조혈모세포 이식(autologous stem cell transplantation, ASCT)을 받고 2개월째 면역억제제를 투여하며 경과 관찰 중이었다. 환자는 과거 만성 B형간염이 있다는 진단을 받았으나 주기적인 검사는 시행하지 않았다. 평소 술은 거의 마시지 않았으며 다른 약물 및 건강식품 또는 한약의 복용력은 없었고 B형간염의 가족력은 정확히 알지 못하였다. 내원 당시 시행한 혈액 검사 결과는 white blood cell 4,000/mm3 (segmented neutrophils 72.8%), hemoglobin 11.4 g/dL, platelet 59 × 103/mm3, prothrombin time 29.7초 (26.5%; internatinal normalized ratio, 2.68), total protein 5.6 g/dL, albumin 2.9 g/dL, total bilirubin 10.8 mg/dL, direct bilirubin 9.2 mg/dL, aspartate aminotransferase 227 IU/L, alanine aminotransferase 1,154 IU/L, alkaline phosphatase 182 IU/L, gamma glutamyl transpeptidase 358 IU/L, blood urea nitrogen 27 mg/dL, creatinine 1.4 mg/dL, Na 133 mEq/L, K 3.9 mEq/L, hepatitis B surface antigen [HBsAg]/antibody [Ab] +/-, hepatitis B e antigen [HBeAg]/Ab +/-, hepatitis B virus (HBV) DNA > 109 IU/mL, anti-hepatitis A virus immunoglobulin M -, hepatitis C virus Ab -였다. 복부 초음파에서는 담낭부종 이외에 특이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환자의 R-CHOP 및 ASCT 전후 B형간염 관련 혈청 표지자 및 HBV viral load의 변화는 표 1과 같았고 B형간염에 대한 항바이러스제는 투여받지 않았다. 환자는 즉시 입원하여 B형간염 항바이러스제로 entecavir를 투여받았으나 입원 3일째 의식 변화가 관찰되기 시작하였고 간 이식 대기 중 급성 간부전이 진행되어 사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