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2006년~2021년 기간 동안 소득, 자산, 공적 이전의 세대 간 차이를 실증하였다. 한국복지패널 2~17차 개인 데이터 자료를 이용하여 APCD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에 따르면 처분가능소득, 개인노동소득, 순자산, 부동산자산, 소득 빈곤과 자산의 빈곤, 공적이전소득에 있어 연령 효과와 함께 코호트의 효과가 공히 발견되었다. 1960년대 초반 코호트의 경우, 소득 수준과 소득 빈곤 위험, 자산 수준과 자산 빈곤 위험, 공적이전 소득으로 측정한 복지 혜택의 수준 모두에서 다른 코호트에 비해 불리한 위치에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현 시점에서 은퇴를 목전에 두고 있는 1960년대 초반 코호트는 소득과 자산의 우위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공적이전의 혜택에서는 소외되어 있었다. 결과에 의한다면 이들 코호트 집단에게 보다 많은 정책적 고려가 필요할 것이며, 최근 주목받는 있는 청년 세대와 더불어 은퇴를 앞두고 있는 1960년대생의 노후 소득보장에 대한 대비를 전반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reveal intergenerational disparities in income, assets, and public transfers over the period 2006-2021. APCD analysis was employed using personal data from the 2nd-17th waves of the Korean Welfare Panel. The results found cohort effects on disposable income, personal labor income, net worth, real estate assets, income poverty and asset poverty, and public transfers. The early 1960s cohort was found to be disadvantaged relative to other cohorts in terms of income and risk of income poverty, assets and risk of asset poverty, and welfare benefits as measured by public transfers. The cohort born in the 1960s, who are nearing retirement at this point in time, are marginalized in terms of public transfers, despite not having an income and asset advantage. A comprehensive review of retirement income security for this cohort is nee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