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견학습 모형은 학생들이 직접 경험을 통해 지식을 습득하고 발견하는 과정을 강조하는 과학 교수학습 모형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발견학습모형이 적용된 수업이 학습 목표 달성 및 과학적 탐구 능력과 태도 향상에 적합한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과학 교과 천문영역 5학년 1학기 3단원 태양계와 별의 7차시 ‘북두칠성이나 카시오페이아를 이용해 북극성 찾기’를 선정하여, 스텔라리움을 활용한 발견학습 모형을 적용한 수업을 구상하였다. 이후 재구성한 수업을 수강한 전주 교육대학교 예비 교사에게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The discovery learning model is a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that emphasizes the process of students acquiring and discovering knowledge through direct experi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ether the class to which the discovery learning model is applied is suitable for achieving learning goals and improving scientific inquiry ability and attitude.
To this end, Unit 3 of the first semester of the fifth grade in the astronomical field of elementary school science curriculum, Finding Polar Star using Big Dipper or Cassiopeia constellation, was selected, and a class applying discovery learning models along with activities using Stellarium was conceived. After that, a survey was conducted on pre-service teachers at Jeo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who took the reorganized cla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