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63
216.73.216.163
close menu
KCI 등재
중국 고등학생의 그릿이 학습몰입을 경유하여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서 젠더의 조절된 매개효과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gender in the impact of Chinese high school students’ grit on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learning engagement
항항붕 ( Xiang Heng Peng ) , 이창식 ( Chang Seek Lee )
산업진흥연구 9권 2호 223-231(9pages)
UCI I410-151-25-02-091469518

본 연구는 중국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그릿이 학습몰입을 경유하여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서 젠더가 조절하는지를 확인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자료는 중국 광동 지역의 한 고등학교에서 유의표집한 고등학생 34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PC+ Win ver. 25.0과 SPSS PROCESS macro ver. 4.2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적용된 통계방법은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 및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이었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릿은 학습몰입, 행복과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젠더와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학습몰입은 젠더 및 학업성취와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그릿이 학습몰입을 경유하여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젠더가 조절 매개하였다. 즉, 그릿이 학습몰입을 경유하여 학업성취에 미치는 조건부 간접 효과는 여자보다 남자가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고등학생들의 학업성취 증진을 위하여 그릿과 학습몰입의 활용을 젠더에 따라 다르게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whether gender moderates the impact of grit on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learning engagement among Chinese high school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targeting 345 high school students purposively sampled from a high school in Guangdong, China.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PC+ Win ver. 25.0 and SPSS PROCESS macro ver. 4.2. The applied statistical methods were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 analysis. The conclusion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grit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learning engage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but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gender. Learning engagement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gender and academic achievement. Second, gender moderated the effect of grit on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learning engagement. In other words, the conditional indirect effect of grit on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learning engagement was higher for men than for women.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d ways to utilize grit and learning engagement differently according to gender to improve the academic achievement of high school students.

1. Introduction
2. Theoretical Background
3. Methods
4. Research Results
5. Discussion and conclusion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