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인구 증가와 피부미용에 관해 관심이 커지고 천연물에 대한 과학적 고찰의 전문화는 천연소재에 대한 활용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본 논문은 천연원료를 피부노화 경감 소재로 활용한 문헌의 추출법 및 경감능을 기반으로 천연물의 종류, 추출물의 기능성 및 추출 기술을 조사하였다. 천연물 유래 기능성 소재의 피부노화 경감에 대한 직접적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콜라겐에 미치는 영향 중 Procollagen 합성능과 MMP-1 경감능을 기반으로 추출물의 기능성을 판단하였다. 각 천연물은 위의 평가법을 이용한 문헌 중 식물, 한약재 및 녹조류로 구분하여 각 원료로부터 기능성 소재의 확보를 위한 추출 기술과 주요 결과를 서술한다. 이에 따라 피부노화 완화를 위한 기능성 소재의 추출 기술과 연구 동향을 제공하여 천연물 활용 연구 분야에 신속한 접근을 제공한다.
The increase in the elderly population and growing interest in skin beauty, alongside specialized scientific examination of natural substances, have led to a rise in the utilization of natural materials. This paper investigates the types of natural substances, the functionality of extracts, and extraction technologies based on the literature that utilizes natural ingredients to mitigate skin aging. To directly assess the impact of functional materials derived from natural products on skin aging mitigation, the functionality of the extracts was determined based on their ability to synthesize Procollagen and reduce MMP- 1. Each natural product is categorized into plants, herbal medicines, and microalgae in the literature utilizing the above evaluation methods. This paper describes the extraction technologies for securing functional materials from each ingredient and the main outcomes, providing trends in research on extraction technologies for functional materials aimed at alleviating skin ag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