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콜센터직원의 ESG 활동 지각이 직무만족, 친사회적 활동 및 직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본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국내 주요 보험사의 콜센터직원 264명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한 후 SmartPLS 4.0을 사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ESG 활동에 대한 직원 인식이 직무만족을 유의하게 향상시켰다. 하지만 ESG 활동 지각이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나 상대적으로 미미했다. 직무만족은 직원의 친사회적 행동과 직무 성과를 긍정적으로 높이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또한, 친사회적 행동은 직무 성과에 긍정적으로 높여주었다. 중요한 시사점으로는 직원의 기업 ESG 경영 활동에 대한 지각이 그들의 직무자원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밝혀낸 것이다. 이러한 직원들의 지각이 직원의 태도, 행동 및 성과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은 기업의 윤리적 행동을 직원에게 홍보하는 것에 대한 장점을 보여준다.
This study examines the role of Environment, Social, and Governance (ESG) activity recognition on job satisfaction, prosocial activities, and job performance among customer representatives working in call center environments. After gathering data from 264 call center workers in major South Korean insurance companies, th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mart PLS 4.0. This study’s findings reveal that employee recognition of ESG activities significantly enhanced job satisfaction. The impact of ESG activity recognition on prosocial behavior was positive but relatively weak. Job satisfaction influences both prosocial behavior and the job performance of employees. Finally, prosocial behavior positively influences job performance. The most significant finding is that employees’ recognition of companies’ ESG management practices serves as a job resource. This recognition enhances employees’ attitudes, behavior, and performance, signaling the potential benefits of informing employees about corporations’ ethical behavi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