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가정보호의 대안적 사례 탐색과 과제
Alternative Care to Family-Based Care for Children in Out-of-Home Care: Experiences and Challenges
임성은 ( Lim Sung Eun )
보건복지포럼 331권 34-48(15pages)
UCI I410-151-25-02-091465725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무료로 이용 가능한 자료입니다.

우리나라의 아동복지시설은 보호대상아동의 특성과 국내외 아동정책 환경 변화에 따라 시설의 소규모화나 탈시설화 요구를 받고 있다. 이에 더해 정부는 보호대상아동이 가정과 유사한 환경에서 성장할 수 있도록 가정보호 활성화를 정책 방향으로 설정하여 관련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가정보호와 관련, ‘가정과 유사한 환경’에 대한 해석이 관계 당사자에 따라 다르게 해석될 여지가 있다. 또한 보호대상아동에 대한 시설보호의 필요성과 의존성이 여전히 남아 있어 가정보호로의 전환은 과도기적인 상황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가정보호의 대안적 사례로 아동양육시설의 소규모화 시도 경험과 공동생활가정의 원가정 복귀 중심 보호 경험을 살펴보고 향후 과제를 도출하였다.

Amid the changing characteristics of children in out-of-home care and the changing trends in child policies within and outside the country, child welfare facilities in Korea have been called upon to move toward downsizing and deinstitutionalization. To further this progress, the government is proceeding with policies aimed at promoting family-type care settings where out-of-home care children can grow in a family-like living environment. However, what ‘family-like living environment’ in foster care means remains subject to different interpretations. Moreover, as the necessity of and dependency on residential-facility-based care persist, the transition to family-type care remains in progress. In this light, this paper examines earlier attempts at downsizing foster care facilities as a move toward family-type care, discuss group-home programs that aim ultimately to return children back to their own families, and draw implications from policy.

1 들어가며
2 아동양육시설의 소규모화 시도
3 공동생활가정의 원가정 복귀 중심 보호
4 나가며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