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생성형 AI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이 초래할 지식구조화의 패러다임 변화를 살펴보고, 인간주체와 비인간주체의 상호 작용이 부단히 갱신해갈 디지털 기억과 그 토대 위에서 맞이하게 될 창의의 위기를 ‘맥락의 재구성’이라는 측면에서 고찰해 보는 것이다. 지식구조화의 디지털 전환을 ‘지식재구조화’라 명명하고 모방기계로서의 비인간주체인 생성형 AI와 편집기계인 인간주체가 인공자연이라는 지식공간에서 함께 추구해야 할 미래가치를 협업의 방정식(모방기계 × 편집기계)으로 구조화하고자 한다.
생성형 AI가 모방하는 디지털 기억은 맥락을 갖지 못하며 작동 원리인 알고리즘은 명령문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인간처럼 자유로운 연상과 상상력을 발휘하지 못한다. 맥락의 부재라는 창의의 위기를 기회로 전환시키기 위해서는 맥락의 재구성이 요구되고, 맥락을 재구성하기 위해서는 생성형 AI라는 모방기계를 판단력과 상상력으로 통제할 수 있는 인간이라는 편집기계가 필요하다. 생성형 AI는 창의성을 위축하는 것이 아니라 강화해준다. ChatGPT의 UI와 UX는 질문과 답변의 형식을 통해 구체화 되는데 그 과정에서 사용자가 얼마나 창의적인 질문을 만들어내는가가 답변의 수준과 신뢰를 담보해낸다. 제출된 답변은 완성이 아니라 지식 구조화의 한 단계에 해당하며, 사용자는 편집적 사고를 바탕으로 지식 재구조화로 연결-확장하는 창의적인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문자가 아니라 문자의 사용자가 더 중요하듯 생성형 AI 역시 기술 자체가 아니라 사용자가 더 중요할 수밖에 없다. 지식 구조화 혁명은 생성형 AI를 도구로 사용자의 편집 능력을 통해 촉진될 것이며, 인간의 지식은 생성형 AI의 데이터베이스로 전환되어야 가치 있게 된다. 인간이 수행해왔던 ‘모방’의 과정을 생성형 AI에게 맡기고, 그 에너지를 ‘편집’을 기반으로 한 ‘창의’와 ‘창조’로 집중한다면 문자와 인쇄술에 필적할만한 또 한 번의 지식혁명이 도래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aradigm shift in knowledge structuring that will be brought about by the rapid development of generative AI technology, and to consider the crisis of creativity that will be faced on the basis of digital memory and its foundation, which will be continuously renewed by the interaction between human and non-human subjects, in terms of ‘reconstructing context’.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knowledge structuring is called ‘knowledge restructuring’ and the future value that non-human subjects, generative AI as an imitative machine and human subjects as an editing machine, should pursue together in the knowledge space of artificial nature is structured as a collaborative equation (imitative machine × editing machine).
The digital memory that generative AI imitates has no context, and the algorithm that runs it is based on instructions and data, so it cannot exercise free association and imagination like humans. To turn the creative crisis of lack of context into an opportunity, context needs to be reconstructed, and reconstructing context requires an editorial machine, a human being who can control the imitation machine of generative AI with judgment and imagination. Generative AI empowers creativity, not stifles it. ChatGPT’s UI and UX are shaped by the question-and-answer format, where the quality and trustworthiness of the answers is determined by how creative the user is in formulating questions. The submitted answers are not the end, but rather a step in knowledge structuring, and the user’s creative work of connecting and expanding knowledge restructuring based on editorial thinking.
Just as the user of a text is more important than the text, generative AI is more important than the technology itself. The knowledge structuring revolution will be facilitated by the editing power of users using generative AI as a tool, and human knowledge will only become valuable when it is converted into a database for generative AI. If generative AI can take over the process of “imitation” that humans have been doing, and focus its energy on “editing” and “creation”, we will have another knowledge revolution comparable to that of writing and prin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