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2018년 P대학 미투운동 참여자의 경험을 통해 대학에 안정된 여성운동조직 기반이 없었음에도 미투운동이 활발히 진행될 수 있었던 까닭을 파악하고, 미투운동 참여 경험이 참여자에게 미친 영향과 후속효과를 확인했다. 2018년 3월초 P대학에서는 연이은 미투 고발과 함께 스스로를 ‘P대페미’라 명명하던 ‘꿘페미’, ‘곁페미’, ‘한줌단’이라는 세 주체가 나란히 등장했는데, 이들은 학생운동 조직에서의 훈련과 여성학 수업에서 맺은 관계를 바탕으로 미투운동에 참여할 수 있었다. 활동 과정에는 여성학 행사에의 참가자 운집과 미투운동 선전물이 캠퍼스를 가득 메우는 ‘페미니스트 스펙타클’ 전술이 작동됐다. 이는 참여자들의 연대감을 강화할 뿐 아니라 운동에 대한 주목도를 높이며 교내 구성원의 미투운동 지지 의견 표명을 활성화했다. 한편, 미투운동 참여 경험은 참여자들이 새로운 페미니즘 소모임을 구성하고 자율적 활동을 실시하는 원동력이 되었으며, 현재까지도 페미니스트로서의 구체적 실천을 고민하도록 만드는 토대였다. 이 연구는 대학 여성운동의 재활성화 가능성을 탐색하는 동시에 미투운동의 불씨가 우리의 삶에 어떻게 살아남아 있는지를 확인했다는 의의가 있다.
This article is an case study on “P” university Me-Too Movement, aiming at identifying the factors of the subjects making of the university women’s movement. In 2018, “P” University did not have a stable female student organization, but during the Me-Too movement, ‘three subjects’ appeared, based on the relationship and training in women’s studies class and the student movement group. In 2018, “P” university campus was filled with countless post-its, hand-written posters, and banners supporting Me-Too movement, this “feminist spectacle” tactic boosted the movement. Me-Too movement participation experience is not a one-time experience but a long lasting experience continuing to feminist network and practices in their daily lives in their own ways. The study explored the possibility of revitalizing the women’s movement in universities and the continuity of the Me-Too movement in our lives.